* 인터뷰를 인용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를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은 CBS에 있습니다.
======================================================
■ 방송 : FM 98.1 (07:0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국립생물자원관 유영남 박제사
죽은 동물을 마치 살아 있는 듯이 만들어내는 것, 박제라고 하죠. 오늘 화제의 인터뷰에서는 우리나라의 베테랑 박제사 한 분을 연결합니다.
이 분 손을 거치면 숨이 끊어졌던 동물들이 멋진 모습으로 재탄생이 된다고 하는데요. 우리나라에 몇 안 되는 이 박제사 이야기, 직접 들어보죠. 국립생물자원관에서 표본제작 담당하는 분, 유영남 주무관입니다. 유 주무관님, 안녕하세요?
◆ 유영남> 네, 안녕하세요.
◇ 김현정>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하시는 거죠?
◆ 유영남> 제가 이제 국립생물자원관에서 그 전시교육과에 근무하면서 저희들한테 들어온 여러 가지 동물의 사체들을 제작해서 만드는 박제라는 업무를 맡고 있는데요. 박제는 이제 쉽게 말하면 죽은 동물을 살아 있는 모습처럼 재현하는 기술입니다. 그래서 만들어놓고 영구히 보존할 수 있도록 만드는 기술입니다.
◇ 김현정> 우리나라 이 박제사라는 직업을 가진 분이 몇 분이나 계실까요?
◆ 유영남> 글쎄요, 저희가 그게 오픈되어 있는 분들을 다 이렇게 확인할 수는 없는데요. 한 100여 명 안쪽이 되지 않을까 생각되고 있습니다.
◇ 김현정> 정말 소수예요, 동물 박제. 이게 어떤 동물이냐에 따라서 박제하는 방법도 다 다릅니까?
◆ 유영남> 그렇죠. 이제 동물이 이제 그 종류에 따라 만드는 제작기법이 다르거든요. 이제 주로 포유류나 조류는 거의 같은 기법을 사용하고요. 어류나 또 양서류, 파충류는 또 이제 다른 방법들을 사용하죠. 그러니까 분류군마다 각각 다른 기술을 저희들이 만들고 있습니다.
◇ 김현정> 이용해서. 그럼 지금까지 몇 점이나 박제 작업을 해 오셨어요?
◆ 유영남> 지금까지 뭐 많은 표본들을 만들었는데요. 저희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약 600여 점 정도 저희가 제작을 했습니다.
◇ 김현정> 600여 점 정도. 제가 자료를 보니까 지금은 큰 바다사자를 표본작업, 박제하고 계신다고요?
◆ 유영남> 네.
◇ 김현정> 그럼 이 큰 바다사자를 일부러 잡아서 이걸 죽여서 박제하는 건 아닐 거고. 어디서 이걸 가져옵니까?
◆ 유영남> 저희 이제 올해 2월달에 제주도에서 이제 폐사체로 이제 큰 바다사자가 발견이 됐어요.
◇ 김현정> 떠밀려온 거, 죽어서 떠밀려온 거군요?
◆ 유영남> 네, 그래서 이제 그거를 저희들이 해상으로 공수를 해서 저희들한테 3월달에 입수가 돼서 그걸 현재 제작중에 있습니다.
◇ 김현정> 그래요. 보니까 길이가 270cm, 무게가 250kg. 이 몸집이 어마어마한테 이걸 혼자 작업하시는 거예요?
◆ 유영남> 아니죠, 이제 자원관에 저와 함께 두 분의 전문가 선생님들이 계세요. 그래서 3인 1조가 돼서 저희들이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 김현정> 그런데 이 박제사라는 직업. 뭐 공채가 있는 것도 아니고 아주 낯선 직입인데. 우리 유 선생님은 처음에 어떻게 시작하시게 된 거예요?
◆ 유영남> 제가 동물을 좋아했었습니다. 좋아해서 이제 제가 집에서 이제 키우던 새가 이제 죽게 돼서 주변에 이제 친구가 그 박제표본을 먼저 배운 친구가 있었거든요.
그 친구보고 “이렇게 죽게 됐는데, 이것 좀 하나 만들어줄 수 있겠느냐?” 그랬더니 친구가 이제 “너도 배워서 만들어라.”
◇ 김현정> 네가 직접 배워서 해라. (웃음)
◆ 유영남> 그렇죠. (웃음)
나한테 좀 귀찮게 하지 말고 좀 배워서 해라. 그래서 이제 되게 좀 기분이 안 좋았었어요. 하나 해 줬으면 좋은데. 그러다가 이제 오기도 생기도 그래서 배우게 되다 보니까 또 지금까지 왔습니다.
◇ 김현정> 그러면 그 핀잔줬던 친구한테 고마워해야겠네요?
◆ 유영남> 고마워하고 이제 지금도 좋은 동료로 같이 기술 개발하고.
◇ 김현정> 그래서 박제사라는 길에 들어서게 되는. 그런데 이게 아무리 말 못하는 짐승이라도 그래도 살아숨쉬던 동물의 사체를 가지고 작업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조금은 꺼려지지는 않으셨어요?
◆ 유영남> 처음에는 그 죽었다는 것 자체가 좀 안 좋죠, 저희도 느끼기에. 그런데 이제 그게 다시 탄생을 할 수 있다라는 게 또 묘한 메리트가 있습니다. 그래서 저희들이 그 만드는 것들을 또 생태에 맞게 또 제작하고 하는 것들, 여러 가지 이제 과정들이 있거든요.
◇ 김현정> 그래요. 가장 보람을 느꼈던 것도 그럼 역시 참 희귀한 동물인데, 죽어서 안타까운데 이것을 내가 작업을 하니까 살아 있는 듯이 만들어졌을 때, 뭐 이런 순간이 되겠네요.
◆ 유영남> 그런 순간들이 여러 번 있죠.
◇ 김현정> 여러 번. 가장 뿌듯했던 동물 박제, 어떤 동물 재현하셨을 때 느끼셨어요?
◆ 유영남> 뭐 여러 가지들이 있기는 한데 저희들이 2008년도에 그 수달 표본이 사체가 이제 저희한테 두 점이 입수가 됐었어요. 그래서 천연기념물이기도 하고 멸종위기종이도 한데. 그 표본의 사체들이 되게 안타깝게 로드킬로 폐사를 했었거든요.
◇ 김현정> 로드킬, 그러니까 길거리에서 차에 치인 거예요.
◆ 유영남> 그렇죠. 그래서 그 당시 그 머리 부분이, 두 마리가 공교롭게 머리 부분이 상당히 파손이 되어 있었거든요. 두개골 뼈가 없는 상태를 가지고 저희들이 제작을 했었는데. 그 물에서 수영을 하고 생활을 했던 애가 길거리에서 차에 치어 죽었다는 게 좀 안쓰럽더라고요. 그래서 기존의 표본들을 다 정자세로. 앉아 있다든지, 서 있는 포즈로 했었는데. 그 수달은 저희들이 이제 수영을 하는 그런 식으로 연출을 해서 생동감을 많이 부여했던 표본이 있거든요.
◇ 김현정> 그래요. 죽은 동물에게 숨을 불어넣어주는, 그런 분입니다. 박제사, 희귀한 직업. 우리나라에 몇 안 되는 직업, 오늘 확실히 배웠네요.
보람 하나로 묵묵히 보이지 않는 곳에서 열심히 일하는 분. 앞으로도 좋은 박제, 좋은 기술 많이 남겨주십시오. 고맙습니다.
"주요 인터뷰를 실시간 속기로 올려드립니다.
인터뷰를 인용 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을 밝혀주십시오."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4/18(수) 유영남 국립생물자원관 박제사 "박제(剝製)의 달인을 아십니까"
2012.04.18
조회 18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