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터뷰를 인용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를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은 CBS에 있습니다.
======================================================
■ 방송 : FM 98.1 (07:0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박만희 구세군 사령관
여러분은 ‘겨울이구나’ 하는 걸 어디서 어떻게 느끼십니까? 두꺼운 옷, 장갑, 하얀 눈 이런 것도 있겠지만 ‘뎅뎅뎅’ 울리는 종소리가 겨울을 알리지 않을까 싶은데요? 구세군 자선냄비 오늘 시종식이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 화제의 인터뷰에서는 지금 누구보다 설레는 마음으로 준비하고 계시는 분. 구세군의 박만희 사령관 한번 연결해 보겠습니다. 사령관님, 안녕하세요?
◆ 박만희> 네, 안녕하세요. 나눔으로 행복한 구세군 박만희 사령관입니다.
◇ 김현정> 매년 시종식이 열리는 날 저하고 인터뷰하셨던 거 아시죠?
◆ 박만희> 네, 감사합니다.
◇ 김현정> 한 해 건강하셨습니까?
◆ 박만희> 네, 감사합니다.
◇ 김현정> 오늘은 시종식이 몇 시에 어디서 열리나요?
◆ 박만희> 오늘 11시, 서울시청 광장에서 진행됩니다.
◇ 김현정> 그러면 전국에서 일제히 그 시간에 빨간냄비 뚜껑이 열리는 겁니까?
◆ 박만희> 일제히는 아니고요. 서울 중심으로 해서 지방에는 조금 차등을 두어서 약 76개 지역, 한 300개의 자선냄비를 걸게 됩니다.
◇ 김현정> 300개. 지난해에는 모금액이 제가 48억이었던 걸로 알고 있는데 올해는 어느 정도 예상하세요?
◆ 박만희> 올해는 거리모금을 50억을 목표로 하고요. 내년까지 해서 계속 이어지는 모금은 70억으로 저희들이 목표를 잡았습니다.
◇ 김현정> 50억, 70억. 아니, 경기가 더 안 좋아졌다고 하는데 어떻게 모금액 목표를 더 높게 잡으셨어요?
◆ 박만희> 구세군은 경기가 어려울수록 어려운 이웃을 도와야 되겠다고 하는 국민들의 뜨거운 성원 때문에 항상 목표를 올려잡고 있습니다.
◇ 김현정> 사실은 저도 나름의 원칙이 하나 있습니다. 뭐냐 하면 길거리 걷다가 빨간냄비 보면 볼 때마다 단돈 1,000원이라도, 500원이라도 반드시 넣고 간다. 10번이 됐든 20번이 됐든 그건 반드시 지킨다. 이게 제 소신이거든요?
◆ 박만희> 감사합니다.
◇ 김현정> 제가 10번이고, 20건이고 그냥 지나치지 않는 이유 중의 하나는 종 들고 계신 분들 있잖아요, 하루종일 길거리에 서 계시는 그분들. 그분들을 봐서라도 저는 그냥 못 가겠더라고요. 이분들은 누구세요? 종 흔들고 계시는 분들.
◆ 박만희> 저희 구세군 사관이 한 800명. 구세군의 모든 3개 법인의 직원이 한 1,100명하고요. 구세군 신자들이고요. 일부는 자원봉사자들입니다.
◇ 김현정> 자원봉사자도 있고. 아니, 이렇게 빨간냄비에 돈 모으기 시작한 게, 성금 모으기 시작한 게 이게 얼마나 됐습니까?
◆ 박만희> 저는 개인적으로 지금 40년째 자선냄비 모금을 하고 있습니다.
◇ 김현정> 40년째. 그러면 매년 신문마다 나오는 얼굴없는 천사가 나타났다. 빨간냄비에다가 이 돈을 누군지도 모르게 넣고 갔다. 이런 뉴스들도 많이 기억나시겠어요?
◆ 박만희> 그럼요. 너무나 기쁘고 감사한 일이죠.
◇ 김현정> 가장 기억에 남는 건 어떤 거 있으세요?
◆ 박만희> 가장 기억에 남는 거는 많이 있지만 지난해 90대의 노부부가 제 방을 찾아서 1억원씩, 2억원의 성금을 자선냄비에 기탁하고 간 그런 사건입니다. 그분들은 이렇게 자선냄비를 통해서 자기처럼 늙고 어려운 이웃을 돕기 위해서 구세군에 이름없이 자선냄비 기부금을 두번째 보내주셨고요. 아마 금년에도 또 오신다고 했으니까 제가 이름없는 천사, 그분들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 김현정> 90세, 아니 그렇게 되면 사실은 자식들한테 하나라도 더 챙겨주고 싶은 마음이 들 법도 한데. 그걸 매년 와서 1억씩이나 기부를 하고 가시는 분들. 아니, 그렇게 대단한 금액이 아니더라도 참 눈물났던 이런 기억도 있으세요, 뭉클했던 기억.
◆ 박만희> 네. 저희가 거리에서, 영등포로 로터리에서 모금하고 있는데 행상하는 아주머니가 머리에 이고 한쪽 손으로 돈주머니를 부시럭부시럭해서 한 주먹 딱 채워서 자선냄비 앞에 와서 저에게 주면서 그거를 통에 넣으라고 할 때에 너무나 감격스럽고 너무나 감사하고 너무나 기뻤습니다.
◇ 김현정> 그런 분들이 계시기 때문에 추운 줄 모르고 하루종일 종 치면서 빨간냄비를 지키시는 거겠죠.
◆ 박만희> 그렇죠.
◇ 김현정> 반면에 속상했던 기억도 있으세요?
◆ 박만희> 날이 많이 추워졌을 때에 거리에서 10분을 서 있기가 어렵거든요.
◇ 김현정> 어렵죠.
◆ 박만희> 그러면 추워지면, 바람이 많이 불고 하면 거리에 사람도 줄고 모금이 확 내려가죠. 그렇게 하면 그 모금이 줄어들기 때문에 그만큼 우리가 나눔을 실천하지 못하고 사회적 약자들에게 기쁨과 희망을 주지 못한다는 생각 때문에 참 마음이 아프고 발만 동동 구르고 있죠.
◇ 김현정> 그래요. 아니, 그런데 이렇게 모금을 하면 이게 정말 좋은 데에 다 쓰이는 거 맞아, 어디로 새는 거 아니야? 이렇게 의심하는 분들은 혹시라도 못 만나셨어요?
◆ 박만희> 구세군이 자선냄비 모금을 해서 84년 동안 어려운 이웃을 돕는 거는 국민들이 인정해 주고 있기 때문에 그렇게 의심하거나 하는 그런 분들은 못 만났고요. 저희들은 열심히 국민들의 심부름을 하고 있을 뿐입니다.
◇ 김현정> 그런 분들이 없어서 그래도 다행입니다. 힘빠지게 하는 분들 없어서. 이렇게 전국 곳곳 길거리에 빨간냄비가 있긴 합니다만 어디 나가서 빨간냄비에 돈 넣기가 어렵다 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디지털 자선냄비도 있다면서요, 올해는?
◆ 박만희> 네. 저희들이 카드단말기를 자선냄비대에 다 달아놨습니다. 그래서 현금이 없을 때는 어느 카드든지 다 좋습니다. 한 번만 긁기만 하면 2000원씩 구세군 자선냄비 구좌로 입금이 됩니다.
◇ 김현정> 괜찮네요. 요즘은 사실 현금을 안 들고 다니는 분들도 많거든요, 신용카드만 쓰는 분들도. 그런 분들을 위해서 긁고 가십시오. 일단 그게 있고. 인터넷으로도 이렇게 할 수 있는 게 있나요?
◆ 박만희> 저희들은 ARS로도 받고요. 또 여러 가지 방법으로 찾아가는 자선냄비, 학교 같은 데는, 교회 같은 데는 저희들 오라고 하면 자선냄비를 가져가서 직접 그곳에 가서 저희들이 모금을 하고 있습니다.
◇ 김현정> 그래요. 사령관님, 하여튼 구세군 이 자선냄비가 팔팔 끓어넘칠 수 있도록 저희도 노력할 테고요. 사령관님도 끝까지 노력해 주십시오. 추운 겨울에 이제 고생 많이 하시겠어요?
◆ 박만희> 감사합니다.
◇ 김현정> 오늘 고맙습니다.
"주요 인터뷰를 실시간 속기로 올려드립니다.
인터뷰를 인용 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을 밝혀주십시오."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11/30(금) 박만희 구세군 사령관 "구세군 자선냄비 시종...빨갛게 달궈주세요"
2012.11.30
조회 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