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정의 뉴스쇼

표준FM 월-금 07:10-09:00

"주요 인터뷰를 실시간 속기로 올려드립니다.
인터뷰를 인용 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을 밝혀주십시오."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8/20(수) "유가족 총회 열어도 재합의 반대입장 불변"
2014.08.20
조회 1142
* 인터뷰를 인용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를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은 CBS에 있습니다.
======================================================



유경근 "김영오는 목숨걸었는데 이런식 합의하다니.."

- 세월호 특별법 재합의, 실망 뿐
- 가족이 동의안하면 시간만 끌 것
- 새누리, 흉금 터놓고 대화안하려 해
- 관철될 때까지 계속 대화시도할 것

■ 방송 : CBS 라디오 FM 98.1 (07:3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유경근 (세월호 가족대책위 대변인)

어젯밤 국회가 긴박하게 돌아갔습니다. 여야가 진통 끝에 밤이 돼서야 세월호 특별법 재합의안을 내놨습니다. 원래 합의에서 달라진 건 특별검사 추천권이죠. 쉽게 설명을 하자면 특별검사를 뽑기 위해서는 특검추천위원회라는 게 먼저 구성이 되는데요. 그 추천 위원들을 누구로 할 건가는 국회에서 여당이 2명의 위원을 지명하고 야당이 2명의 위원을 지명해서 특검추천위원회를 꾸리자, 이게 원래 안입니다. 그런데 유족들이 반발을 하자 그럼 여당 몫 2명은 유가족의 사전동의를 받아서 지명하는 걸로 하겠다, 이렇게 재합의를 한 겁니다. 그런데 끝이 아니었습니다. 밤에 이 소식 전해 들은 유가족들, 이번 재합의도 받아들이기 어렵다라는 입장을 지금 모아가고 있다는데요. 어떤 입장일까요? 세월호 가족대책위 유경근 대변인 직접 연결합니다. 유 대변인님 나와 계십니까?

◆ 유경근> 네, 안녕하십니까?

◇ 김현정> 밤 사이에 모여서 토론도 하고 그러신 거죠?

◆ 유경근> 네, 그렇습니다.

◇ 김현정> 어제 애초에 입장은 수용불가 쪽이다, 이렇게 알려졌는데 밤사이 얘기하면서 좀 달라진 게 있나요?

◆ 유경근> 아니요, 달라진 거 없습니다. 여전히 저희들은 어제 재합의안에 대해서 반대를 하고 있고 받아들이기가 어려운 안이라고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

◇ 김현정> 어렵다.

◆ 유경근> 얼핏 보면 그럴 듯한데요. 결국에는 이거는 누가 하나 마음만 먹고 진행을 하면 파행에 파행을 거듭할 수 밖에 없는 그러한 내용이고요.

◇ 김현정> 왜 그렇게 보셨습니까?

◆ 유경근> 어제 합의는 가족들의 동의가 있는 특검 추천위원들을 선정을 하겠다 이런 이야기인데요.

◇ 김현정> 그렇죠.

◆ 유경근> 그 말은 다시 뒤집어서 이야기를 하면, 저희가 동의를 안 하면 계속 추천위원회 자체가 구성이 안 될 수밖에 없는 거죠.

◇ 김현정> 그러니까 여당이 ‘추천위원 2명 A하고 B 어떻습니까’ 유가족한테 제시를 했을 때 유가족이 ‘싫습니다’ 하면 또 다르게 C, D를 데려올 거고 E, F를 데려올 거고 계속 이런 식으로 시간만 질질 끌다가 흐지부지 되는 거 아니냐 이런 염려하시는 거예요?

◆ 유경근> 물론 이렇게 이야기를 하면 너무 못 믿는 거 아니냐 이렇게 말씀을 하실 수도 있겠죠. 그런데 저희가 이렇게밖에 판단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뭐냐하면, 이 국정조사가 시작된 이후에 저희가 국회에서 봐온 모습이 바로 그런 모습이기 때문입니다. 이미 저희가 그런 학습효과가 너무나 커요. 저희가 일부러 동의를 안 하기 위해서 말씀드리는 게 아니고, 그런 모습을 너무나 많이 봐왔기 때문에 단순히 사람들의 선의지에 의지하는 이런 제도는 굉장히 현실적으로 진행이 어렵겠다 이런 판단을 하고 있는 거죠.

◇ 김현정> 그러니까 여당이 2명 추천위원 지명을 한 후에 유가족한테 가서 검사 맡는 형식, 그래서 무한대로 될 때까지 C, D, E, F 쭉 갈 바에는, 차라리 그냥 유가족들이 2명을 지명하면 되는 거 아니냐, 이렇게 말씀하시는 거죠?

◆ 유경근> 고육지책이지만 정 특검을 활용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라고 하면 그렇게라도 해야 이게 정말 깔끔하게 일이 진행이 될 수 있겠다, 이렇게 판단하고 있습니다.

◇ 김현정> 그런데 이런 얘기하는 분들도 계세요. 협상이란 게 결국 상대가 있는 건데 원하는 100%를 얻을 수는 없는 거 아니냐 그래도 이 정도면 수사하기에 그렇게 나쁜 조건은 아니니까 이제 일을 진척시키고 좀 속도를 내자. 왜냐하면 국민들 관심이라는 게 시간이 갈수록 옅어지는 건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고, 그러니까 그 관심 식기 전에 진상조사위 활동도 하고 특검도 수사하고 이러는 게 낫지 않겠느냐, 이 정도면 합의하자, 이런 분들도 계시긴 해요. 어떻게 보세요?

◆ 유경근> 그런 주장이 새정치민주연합 특히 박영선 위원장께서 하시는 말씀입니다.

◇ 김현정> 그렇죠.

◆ 유경근> 하지만 이 문제는 하나를 주고 하나를 받으면서 서로가 50%씩 만족하고 어느 정도 괜찮으면 진행을 하자, 이런 건이 아니고... 이건 절대절명의 모든 국민들께서 원하시는 안전한 나라를 향한 이러한 일들을 만들어나가야 되는 일인데, 이거는 협상의 대상이 아니고 관철을 시켜야 될 문제다. 그러기 때문에 저희 유민이 아빠 같은 경우에는 실제로 목숨을 걸고 단식을 하는 이유가 바로 그런 데 있는 겁니다.

◇ 김현정> 협상의 대상 아니다, 타협의 대상 아니다. 그런데 이 얘기를 야당한테 아무리 이렇게 해 봤자 지금 여당이 키를 쥐고 있지 않습니까? 여당에서는 ‘백 번 협상해도 안 되는 건 안 되는 거다. 이건 원칙의 문제다’ 얘기를 하는데, 여당의 안 되면 이거 끝까지 계속 이렇게 수평선만 달리는 건 아닌가요?

◆ 유경근> 저희도 그런 부분을 우려하지 않는 건 아닙니다마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희망을 가지는 이유는 저희가 여당과 흉금을 털어놓고 대화를 해 본 적이 단 한 번도 없습니다.

◇ 김현정> 김무성 대표하고 만나기는 만나셨잖아요.

◆ 유경근> 그게 거의 실질적으로 처음 만나서 이야기를 해 본 이런 경험이었죠. 흉금을 털어놓고 있는 그대로 털어놓고 대화를 할 수 있는 자리는..

◇ 김현정> 일단 만나달라... 일단 만나달라고 그렇게 많이 말씀하셨는데 그게 안 됐습니까?

◆ 유경근> 전혀 안 됐죠.

◇ 김현정> 지금 여당 입장은 확고합니다. 이것도 상당히 많이 물러선 거고 합의한 거 한번 재합의 다시 해 줬는데 또 뒤집으라는 건 있을 수 없다는 입장인데요. 정말 재합의, 재협상 안 된다면 그때는 어떻게 하실 계획이십니까?

◆ 유경근> 안 된다고 그래서 이거는 안 되는 일이라고 판단을 하지는 않습니다, 저희는. 분명히 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을 하고 이해가 될 때까지 계속 대화를 시도할 거고요.

◇ 김현정> 세월호 가족대책위 유경근 대변인 지금 만나고 있습니다. 지금 시간이 없지만 제가 이 분 안부는 잠깐 묻고 가야겠네요. 유민 아버지 김영오 씨 오늘로 단식 38일째 맞죠.

◆ 유경근> 맞습니다.

◇ 김현정> 제가 딱 일주일 전 이 시간에 인터뷰 했는데 키가 176cm인 분이 몸무게가 48kg 나가신다고 해서 제가 깜짝 놀랐었어요. 지금 곁에서 보실 때 그분 상태가 어떻습니까?

◆ 유경근> 제가 지금 광화문에 나와 있는데요. 어제밤에도 주무시기 전에 보고 그랬는데 예상하셨다시피 많이 안 좋습니다. 많이 기력도 쇠해 있으시고, 특히 가족들도 중단을 해 주셨으면 원하고 있습니다마는... 저도 이제 한 22일 정도 단식을 했었는데요. 그냥 아무것도 되는 게 되는 게 없는 상태에서 그냥 건강 때문에 그만두라고 하는 얘기가 본인에게 얼마나 스트레스가 되는지를 제가 너무나 알고 있어요. 그러다 보니까 단식중단을 더 적극적으로 권유하기도 굉장히 어려운 면도 있고요.

◇ 김현정> 유민 아버지 살리기 위해서라도 이거 뭔가 진전이 있어야겠네요.

◆ 유경근> 네, 물론 당연히 그런데요. 본인께서도 얘기하시는 건 뭐냐면, 내가 하나 살고 죽는 게 중요한 게 아니다. 너무 거기에 집착을 해서 이야기하면 본질에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또 거꾸로 그렇게 말씀을 하고 계십니다.

◇ 김현정> 다들 걱정이 많습니다. 이러다가 어떻게 되시는 건 아닌가 걱정이 많은데 일단 몸을 추스리실 수 있는 이런 상황 됐으면 좋겠습니다. 하여튼 여기까지 오늘 말씀 듣고요, 오늘 저녁에 가족 총회하시잖아요. 최종 결론내리기 위한 그 결정 어떻게 나는지도 지켜보고 있겠습니다.

◆ 유경근> 최종 결론이 이미 나있습니다마는 그 이후의 대안이라든가 대책, 이런 것들에 대해서 논의가 될 것 같습니다.

◇ 김현정> 가족총회 열어도 이 상황 바뀌지 않을 것이다 그 말씀하신 거예요.

◆ 유경근> 네.

◇ 김현정> 고맙습니다.

◆ 유경근> 감사합니다.

◇ 김현정> 세월호 가족대책위원회 유경근 대변인 만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