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터뷰를 인용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를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은 CBS에 있습니다.
======================================================
■ 방송 : CBS 라디오 FM 98.1 (07:3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김정화 (예술심리치료사)
요즘은 어느 집이든 카메라가 한 대쯤은 있죠. 심지어 휴대전화에 개인카메라가 붙어 있어서 늘 가지고 다니면서 사진을 찍습니다. 그런데 카메라를 평생 한 번도 구경 못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이들에게 ‘카메라를 쥐어주자’ 외치면서 지구촌 방방곡곡을 누리는 분이 있어서 지금 화제인데요. 스스로를 ‘카메라 우체부’라고 소개하는 분, 도대체 카메라를 쥐어준다는 게 어떤 의미인지 오늘 화제의 인터뷰에서 이 ‘카메라 우체부’를 직접 만나보죠. 김정화 씨,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 선생님.
◆ 김정화> 네, 안녕하세요.
◇ 김현정> 카메라는 카메라고 우체부는 우체부지 ‘카메라 우체부’는 뭡니까?
◆ 김정화> 네, 맞아요, ‘카메라 우체부’라는 말이 다소 생소하게 들리실 거예요. 제가 지었어요(웃음).
◇ 김현정> 스스로 지으신 직업이에요?
◆ 김정화> 네.
◇ 김현정> 어떤 거예요?
◆ 김정화> 그러니까 우체부가 편지를 전달하듯이 카메라를 전달해 준다고 해서 그래서 카메라 우체부라고 말을 했어요. 그래서 불우한 환경에서 사는 전 세계 아이들한테 카메라를 전달해 주는 일을 하는 건데요. 카메라를 가진 아이가 사진을 실컷 찍고 나면 그 카메라를 들고 카메라 우체부가 다음 나라로 이동해서 또 다른 아이한테 전달해 주는 그런 역할을 하는 겁니다.
◇ 김현정> 그러니까 구호물자 전해 주듯이 카메라 기계 하나 주고 오는 게 아니라 그 아이들에게 내 카메라를 주면서 ‘사진을 찍어봐’ 사진 찍는 방법도 알려주고 이러는 겁니까?
◆ 김정화> 사진을 찍는 방법도 가르쳐주는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카메라가 여행을 할 때 카메라가 돌고 도는 것이 시스템이 가장 핵심이에요. 왜냐하면 이런 걸 하게 되면 사진을 찍으면서 관객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게 되거든요. 카메라를 자기가 받아서 봤듯이 다음에 누군가가 자기 사진을 보게 될 거란 걸 알게 되잖아요. 그래서 기왕이면 조금 더 근사한 사람으로 보여주고 싶고 자기가 가진 것 중에서 뭔가 자랑할 게 없나 이런 걸 찾게 되는 거예요. 그리고 자기 나라하고 자기 고향을 대표한다는 사실이 생각이 드니까 우쭐해지고 그런 효과가 있는 것이 여행하는 카메라의 콘셉트에서 나오는 것 같아요.
◇ 김현정> 그렇군요. 그러니까 카메라 한 대가 지구촌 여러 나라의 아이들을 만나면서 여행을 다니는 셈이네요.
◆ 김정화> 네, 그렇습니다.
◇ 김현정> 여기서 A라는 나라에서 아이들이 찍은 그 내용물은 B라는 나라에 갔을 때 다 보여주는 거고. B라는 나라에서 아이들이 찍어놓은 그 풍경들, 사진들은 또 C라는 나라 아이들이 보게 되는 거고.
◆ 김정화> 그렇죠, A와 B도 다 같이 보죠, C도.
◇ 김현정> 그렇게 되네요. 어디어디 다녀오셨어요, 지금까지?
◆ 김정화> 2011년과 2012년에 한국, 베트남, 미얀마, 몽골 이렇게 네 나라를 두 차례에 걸쳐 돌았어요. 그래서 각 나라에서 대여섯 명의 아이들을 만나서 그 아이들하고 말 그대로 울기도 하고 웃기도 하고 별별 일들이 많았습니다.
◇ 김현정> 한 곳에서 보통 어느 정도 머무시는 거예요?
◆ 김정화> 보통 2주 정도 그 아이들이 사진을 찍게 해요.
◇ 김현정> 그런데 사실 우리나라는 이제 카메라 보면서 ‘우와, 신기해’ 이런 사람은 없잖아요. 그 아이들은 그런데 카메라 보면서 너무너무나 신기해하는 건가요?
◆ 김정화> 여기 아이들이 대부분 사진... 카메라라는 걸 처음 만져본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 김현정> 태어나서 처음?
◆ 김정화> 믿을 수 없으실 텐데, 정말로 그런 경우가 대부분이었어요.
◇ 김현정> 딱 줬을 때 반응이 어떻습니까, 딱 쥐어줬을 때?
◆ 김정화> 처음에는 낯선 기계니까 좀 위축되고 이거 고장내면 어떻게 하나 내가 이걸 어떻게 만지나 그러거든요. 그런데 자동카메라거든요. 디지털 카메라 조그마한 거, 똑딱이라고 하는 그래서 그런 것들이 워낙 조작이 간단하고 쉬우니까 사실 금방 어떻게든 뚝딱 찍히잖아요.
◇ 김현정> 네.
◆ 김정화> 그러면서 어떻게 하다 보니까 본인이 찍고 그럴 듯한 사진이 나오니까 ‘내가 꽤 괜찮은 능력 있는 사람인 것 같다’라는 생각을 하게 되는 거예요. 그래서 금방 그런 것에 대한 두려움은 없어지고요. 되게 잘 가지고 즐겨요. 예를 들어서 한국 아이들 같은 경우는 찍으면 뭔가 조직적이라고 할까요, 많이 봐왔던 구도와 그런 것들을 찍어서 인상적이지 않은 편인데. 그런데 카메라를 안 잡아본 아이들은 정말 새롭고 그게 처음이기 때문에 전혀 다른 것들이 좀 찍히더라고요.
◇ 김현정> 예를 들면 ‘어떻게 이렇게 찍을 수 있지’라고 했던 기억나는 컷 있으십니까?
◆ 김정화> 보통 여기에 참여한 아이들이 대부분 소녀들이에요. 그래서 카메라를 받으면 자기 동생부터 찾아요. 그래서 동생을 예쁘게 사진 찍어주는 게 언니들의 특징이에요. 동생들을 데리고 되게 여러 가지를 찍으면서 즐거워하고 행복해하고 그런 게 사진으로 보이고요. 아이들한테 어느 정도 미션을 주고 주제를 정해 주는 게 더 안정감을 주더라고요.
◇ 김현정> 그렇군요.
◆ 김정화> 그래서 예를 들어서 몇 가지 주제를 공통적으로 주는데 자기한테 가장 소중한 것을 찍는다든가 아니면 자기를 힘들게 하는 걸 찍는다든가 누구한테 선물하고 싶은 것을 찍는다든가 이런 식의 몇 가지 주제를 줘요. 그런데 여기서 가장 좀 흥미로웠던 건 자기를 가장 힘들게 하는 것에 대해서 아이들이 거의 공통적으로 찍은 게 있어요.
◇ 김현정> 뭔가요?
◆ 김정화> 그게 책 아니면 공책이에요.
◇ 김현정> 거기 아이들도 공부하기 싫어하는 건 똑같군요(웃음).
◆ 김정화> 그렇죠. 그러면서 왜 이런 거를 찍었느냐라고 얘기하면 ‘공부하기 싫어요’, ‘시험 못봐서 속상해요’ 이게 아이들의 만국 공통어더라고요.
◇ 김현정> 카메라를 평생 한번도 구경 못했을 정도로 사실은 가난한 아이들. 그런 아이들에게 ‘너 참 귀한 아이야’, ‘너 좋은 아이야’, ‘세상은 이렇게 아름다워’ 이런 것들을 알려주는 카메라 우체부 김정화 씨 만나고 있습니다. 이렇게 좋은 일이면 카메라 우체부가 여럿이여서 여러 분이 이곳에 가서 더 많은 아이들을 상대로 이런 좋은 일을 했으면 싶은데 어떻게 우체국을 좀 키워볼 생각은 없으세요?
◆ 김정화> 그러고 싶죠.
◇ 김현정> 그래서 모집을 지금 하고 계신다면서요, 우체부를.
◆ 김정화> 얼마 전에 기사가 나간 이후 조금 페이스북 방문자들이 생기면서 스스로 지원해 주시는 분들 계시고요. 지금 페이스북 페이지에 ‘카메라에 부탁해’라고 검색을 하면 저희 공식 사이트가 나와요. 거기 보면 카메라 우체부 지원하는 방법이 설명되어 있고 아이들이 찍은 아주 예쁜 사진들도 볼 수 있습니다.
◇ 김현정> 알겠습니다. 뜻 있는 많은 분들이 카메라 우체부가 돼서 많은 아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주셨으면 좋겠네요. 오늘 예쁜 말씀 고맙습니다.
◆ 김정화> 네, 감사합니다.
◇ 김현정> 카메라 우체부입니다. 김정화 씨 만났습니다.
"주요 인터뷰를 실시간 속기로 올려드립니다.
인터뷰를 인용 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을 밝혀주십시오."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9/23(화) "처음 카메라 본 아이들이 책과 공책을 찍는 이유는.."
2014.09.23
조회 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