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정의 뉴스쇼

표준FM 월-금 07:10-09:00

"주요 인터뷰를 실시간 속기로 올려드립니다.
인터뷰를 인용 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을 밝혀주십시오."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10/8(수) “AG 수영 국가대표 선발 비리, 어디 그 뿐일까"
2014.10.08
조회 1504
* 인터뷰를 인용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를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은 CBS에 있습니다.
======================================================



- 협회실세나 심판 등 공범있을 가능성
- 징계가 고작 '휴가'... 잠깐 쉬다 복직
- 수영 외에 체육계 전반 들여다봐야


■ 방송 : CBS 라디오 FM 98.1 (07:3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정희준 (동아대 스포츠과학부 교수)

얼마 전 끝난 인천아시안게임 수영 국가대표 선수 선발과정에서 거액의 금품이 오간 혐의가 포착돼서 경찰이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오늘 아침에 들어온 소식인데요. 대한수영연맹 이사가 싱크로나이즈드 국가대표선수 선발과정에서 선수 부모들로부터 1인당 수천만 원씩을 받았다, 이런 혐의를 잡고 있습니다. 수사 결과 끝까지 지켜봐야겠지만 이미 업계, 종목에서는 소문이 파다하다고 하고요. 상당히 구체적인 증거들을 잡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은행계좌, 통신내역까지 확보가 됐다고 하죠. 어떻게 된 일일까요. 전문가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동아대학교 정희준 교수 연결을 해 보죠. 정 교수님 안녕하세요?

◆ 정희준> 네, 안녕하세요.

◇ 김현정> 다른 것도 아니고 국가대표 선발전입니다. 부정이 있을 수가 있습니까?

◆ 정희준> 있죠. 비리가 작은 대회, 큰 대회를 가리지는 않고요. 그리고 큰 대회일수록 그런 사람들의 이해관계가 많이 엮이게 되기 마련이죠. 그래서 보통 보면 스포츠계의 문제가 심판 판정비리가 이제까지 많이 있어 왔거든요. 그런데 심판판정 비리도 문제지만 심지어는 선수들이 스스로 또 승부조작에 참여하는 경우도 있고 해서 요즘 전방위적인 문제라고 봐야겠는데 이번 문제는 심판 혼자가 한 것 같지는 않고요. 일단 협회 이사가 주도했다고 하는데.

◇ 김현정> 지금은 이사 혐의만 잡은 거거든요.

◆ 정희준> 이사 혼자서 하지는 않았을 거고요. 학부모한테 돈 받은 건 이사일 테지만 미리 심판들한테 전달, 지시를 해야 될 거 아닙니까? 그러면 심판들도 분명히 연루가 돼 있을 거고 아마 협회의 실세라고 할 수 있는 그런 또 다른 이사나 부회장이나 이런 임원들이 또 연루가 돼 있겠죠.

◇ 김현정> 제가 그 부분이 궁금했어요. 이 아시안게임의 대표 선수 선발 정도면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주목하는 큰 경기일 텐데 이게 어떻게 가능한가 이사 혼자서 되는 게 아니라 그러니까 여기에 주목하는 많은 사람들이 같이 눈을 감아줬을 거다, 이렇게 보시는 거군요?

◆ 정희준> 그렇죠. 이런 판정비리, 특히 대표팀 선발전 같은 것들은 선발과정에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거든요. 그래서 이사 혼자서 개인이 독단적으로 할 수 있는 그런 일은 아니에요. 여기에는 몇몇 공범들이 분명히 같이 작업에 나섰을 거라고 저는 생각을 합니다.

◇ 김현정> 이사가 시킨다고 심판들이 다 순순히 응합니까, 그 돈 몇 푼 때문에?

◆ 정희준> 그 이사가 누구냐에 따라 달질 수 있는 거죠. 이사가 실세라면 그럴 수 있는 거고요. 이사가 만약에 대표팀 선발전까지 자기 혼자서 개입하기가 힘들다면 자기가 아닌 다른 실세한테 부탁을 하는 거죠, 보통 그렇게 이루어지거든요.

◇ 김현정> 심판들이 거부하면 뭔가 불이익이 있습니까, 심판이 싫다 할 수도 있잖아요?

◆ 정희준> 싫다 할 수도 있고 그런 경우도 당연히 있기는 있는데 어떤 심판 경우에는 그게 잘 안 되는 거죠. 예를 들어서 협회 높은 사람이 자기한테 지시를 했는데 또는 부탁을 했는데 그걸 자기가 거절을 하게 되면 추후에 협회에서 예를 들어서 왕따가 된다거나 아니면 심판배정을 받지 못하게 된다거나 하는 그런 경우들이 있기 때문에 그냥 울며 겨자먹기로 받아들이는 사람들도 있고 어떤 사람들은 좀 적극적으로 하는 사람들도 있을 거고요. 케이스는 다양하지만 위에서 지시가 내려오면 사실 거절하기가 조금 힘들다, 그런 분위기가 있는 건 분명합니다.

◇ 김현정> 저희가 쭉 조사를 해 보니까 경찰이 수사에 착수한 건 지금이지만 수사 들어간 건 지금이지만 이미 그쪽 수영계에는 소문이 파다했다, 이런 얘기가 들립니다. 그럼 이 국가대표 선발전에서의 이런 식의 비리가 과연 수영만의 일일까, 또 우리가 의심해 보게 되는데 어떤가요?

◆ 정희준> 그렇지는 않죠. 그게 예를 들어서요. 무슨 자식이 좋은 대학을 가야겠다라거나 아니면 남자 선수들 경우에는 병역 혜택을 받아야 되겠다거나 하는 경우에 종목에 따라서 학부모들이 나서서 협회 사람들과 평소의 친분관계를 가지고 이런 거에 나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제까지 여러 가지 문제가 있었어요. 예를 들어서 유도 같은 종목은 특정 대학이 심판위원, 한때는 심판위원 전원을 모조리 독식하고 있었던 경우도 있었고요. 그리고 얼마 전에 문제가 됐던 태권도 쪽의 판정비리가 좀 심각해서 그 선수의 아버지가 자살을 하기도 하지 않았습니까?

◇ 김현정> 맞아요.

◆ 정희준> 그래서 이런 문제는 어느 한 종목의 문제가 아니고 체육계 전반에 걸쳐 있는 거라고 봐야 되겠죠.

◇ 김현정> 이번 그러면 아시안게임에서도 싱크로나이즈드 외에도 다른 데까지도 수사를 해 볼 필요가 있다 이 말씀이시네요?

◆ 정희준> 그렇죠. 당연히...

◇ 김현정> 당연합니까?

◆ 정희준> 이번 아시안게임 선발전뿐만은 아닐 겁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걸 잡아내는 게 사실은 쉽지가 않죠. 몰래몰래 하는 일들이기 때문에 그만큼 좀 노력을 기울여야지 여죄가 또 밝혀지지 않을까 생각을 합니다.

◇ 김현정> 체육계에는 소문이 파다한 일이고 또 우리가 알고 있는 지금 말씀하시는 태권도 협회의 비리라든지 이런 것들 우리가 다 아는데 왜 이런 식의 비리는 근절이 안 되는 걸까. 왜 그런 걸까요?

◆ 정희준> 제가 정말 안타깝게 생각하는 건 체육계에서 이런 문제가 자꾸 반복이 되는데요. 다른 사회조직이라고 해서 이런 비리가 없는 건 아니죠. 그런데 예를 들어서 문제가 생기면 거기에 대한 징계만큼은 철저하게 해야 되거든요.

◇ 김현정> 물론이죠.

◆ 정희준> 그런데 예를 들면 이런 거예요. 자기 여자 고등학생들을 성추행한 감독이 쫓겨났다가 다시 다른 여자 고등학교에 가서 감독을 하고 있다는 게 말이 안 되지 않습니까? 그런데 체육계에서는 이러한 잘못을 저질렀을 때 그 징계가 사실상의 휴가인 경우가 많아요.

◇ 김현정> 그게 무슨 말씀이세요, 징계가 휴가라니요?

◆ 정희준> 징계 그러니까 이 사람이 잘못했으면 당연히 아웃, 퇴출을 시켜야 되는데 몇 달만 쉬어 해서 잠깐 나갔다가 다른 자리, 다른 감독, 다른 협회 임원으로 다시 복직을 하게 되는 거죠. 그러니까 사실은 일벌백계라는 게 전혀 작동하지 않고 죄를 한번 저질러도 재수없게 걸렸다, 그러면 좀 쉬었다 들어오지 이런 식의 생각을 하니까 문제가 계속 반복이 될 수밖에 없는 거죠. 그래서 체육계에는 다른 분야는 세 번 잘못하면 아웃, 스리 스트라이크 아웃 이런 게 있는데 체육계는 원 스트라이크 아웃 시켜야 됩니다.

◇ 김현정> 원 스트라이크 아웃 필요하다, 싱크로나이즈드 국가대표 선발과정에서의 비리혐의, 좀 충격적입니다. 아시안게임의 대표선수를 선발하는 데까지도 이런 부정이 있었다니 이것도 우리가 관심가지고 끝까지 수사 결과 지켜보겠습니다. 교수님 고맙습니다.

◆ 정희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