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명 'CBS라디오 <박재홍의 뉴스쇼>'를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은 CBS에 있습니다.
======================================================
■ 방송 : CBS 라디오 FM 98.1 (07:30~09:00)
■ 진행 : 박재홍 앵커
■ 대담 : 강장수 (홍천 율전초등학교 교사), 김승배 (한국 기상산업진흥원 홍보실장)

기상전문가 "강추위는 내일이 절정, 올겨울 눈 잦을 것"
오늘 아침 일어나실 때 몸이 으슬으슬 하셨던 분들 많으시죠. 어제부터 전국에 눈비가 내리더니 오늘 아침에는 강력한 한파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이곳 서울 목동도 현재 영하 12도까지 떨어졌는데 강원 지역의 경우는 영하 17~18도까지 내려간 곳이 있습니다. 오늘 아침 한파는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언제쯤 풀릴지 한번 짚어보겠습니다. 지금 전국에서 가장 추운 곳 인 영서지역으로 가보겠습니다. 어제부터 눈이 상당히 많이 쌓인 곳인데요. 강원도 홍천의 율전초등학교에 강장수 선생님을 만나보겠습니다. 선생님 안녕하세요?
◆ 강장수> 네, 안녕하세요.
◇ 박재홍> 지금 홍천은 몇 도 정도 내려갔습니까?
◆ 강장수> 오늘 아침 영하 17도 정도 내려간 것 같습니다.
◇ 박재홍> 영하 17도요? 그러면 외출할 때 바람까지 불게 될 경우에는 체감온도가 더 떨어지겠네요?
◆ 강장수> 네, 밖에서 5분 정도만 서 있으면 볼이 떨어져 나가는 것 같습니다.
◇ 박재홍> 볼이 떨어져 나갈 것 정도의 추위라는 말씀이시고, 어제 홍천에 눈이 많이 내렸다고 하는데요. 어느 정도 내린 건가요?
◆ 강장수> 저희 집에 25cm 정도 쌓였고요.
◇ 박재홍> 25cm요?
◆ 강장수> 네.
◇ 박재홍> 그러면 굉장히 많이 온 건데요. 그리고요?
◆ 강장수> 발이 한 정강이 정도까지 푹푹 빠지게 되었습니다.
◇ 박재홍> 그러면 학교의 눈은 누가 치우시는 건가요?
◆ 강장수> 학교에 있는 눈은 우리 교직원들이 치웠고요. 지역의 학부형님이 트랙터를 동원해 오셔서 학교 진입로 부분을 많이 치워줬고요.
◇ 박재홍> 또 강원도이기 때문에 한번 눈이 내리면 굉장히 오랫동안 쌓여 있기도 하고, 다른 지역보다 눈이 굉장히 늦게까지 내리지 않습니까?
◆ 강장수> 제가 여기 근무하면서 보면 12월에 눈이 오면 그 눈이 한 4월까지는 계속 남아 있는 것 같고요. 운동장에 쌓인 눈도 한 4월 중순은 돼야 전부 없어지는 것 같습니다.
◇ 박재홍> 4월까지도 눈이 소복히 쌓여 있군요. 그런데 어제같이 눈이 많이 내리면 아이들이 학교 올 때 굉장히 어려움을 겪을 것 같은데요. 어떻습니까?
◆ 강장수> 어제 눈이 와서 등교를 못한 학생이 있었습니다. 저희 전교생이 11명인데 그중에서 3명이 등교를 하지 못했습니다. 학교에 통학버스가 있는데 통학버스가 큰길까지만 운행을 하다 보니까 집에서부터 큰길까지 나오는 그 구간을 차량으로 이동하기 어려우면 학교를 오지 못하는 학생이 있습니다.
◇ 박재홍> 눈이 많이 오고 또 제설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은 도로까지는 버스가 못 갈 수도 있기 때문에 그런 것 같네요.
◆ 강장수> 네, 그렇습니다.
◇ 박재홍> 그런데 보통 12월이 되면 원래 이 정도로 추운지 궁금하고요, 예년과 비교했을 때 기온이 어떻습니까?
◆ 강장수> 여기는 항상 그랬던 것 같습니다마는 작년도 굉장히 추웠고요. 올해는 특히 12월 초부터 추워서 일찍 추위가 온 것 같습니다.
◇ 박재홍> 그래요. 그러한 추위 가운데서도 아이들을 가르치시느라 고생이 많으시네요. 방학은 언제 하십니까?
◆ 강장수> 12월 24일에 계획하고 있습니다.
◇ 박재홍> 그러시군요. 그때까지 또 아이들과 함께 이 추운 날씨를 잘 보내셔야겠네요. 말씀 잘 들었습니다.
◆ 강장수> 네, 고맙습니다.
◇ 박재홍> 강원도 홍천 율전초등학교의 강장수 선생님이었고요. 이어서 이 한파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그리고 올 겨울 눈은 얼마나 더 내릴지 기상전문가를 연결해서 전망해 보겠습니다. 한국기상산업진흥원에 김승배 홍보실장입니다. 실장님, 안녕하세요?
◆ 김승배> 네, 안녕하십니까?
◇ 박재홍> 앞서 강원도 홍천의 얘기를 들어보니까 영하 17~18도까지 막 떨어졌다고 하던데 체감온도는 더 떨어질 것 같네요. 전국적으로 얼마나 추운 겁니까?
◆ 김승배> 그렇습니다. 강원도 지방에는 한파경보, 또 경기도와 충청도 일원에는 한파주의보가 내려져 있고요. 또 호남 서해안 쪽은 대설주의보가 내려져 있고 강원도 영동 쪽은 건조주의보가 내려져 있어서 우리나라 전체적으로 볼 때 여러 가지 기상 특보들이 발령이 돼 있는 상황입니다. 또 찬 대륙고기압이 확장해 내려오면서 바다에는 파도가 높아 풍랑주의보가 내려져 있는, 좋지 않은 날씨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 박재홍> 지금 서울도 영하 12도를 가리키고 있고요. 그런데 요즘 날씨를 보면 서해안 쪽에 눈이 많이 내린 것 같네요.
◆ 김승배> 네, 올 겨울 들어서 자주 내리고 있는데요. 여름내 데워진 서해바다가 따뜻하거든요. 그 바다 위에 겨울철이 되면 시베리아 쪽에서 찬 공기들이 내려옵니다. 바다 위는 따뜻하고, 위에 내려오는 공기는 차가워지면서 만들어진 서해상의 눈구름이 호남서해안 지방에 영향을 줘서 눈이 많이 내리는 것입니다. 올해에는 찬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눈이 자주 내리고 있습니다.
◇ 박재홍> 그래요. 또 특히 올 겨울에 계속 한파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조금 전에 홍천에 계신 선생님도 예년보다 좀 추위가 빨리 오는 것 같다는 말씀도 하셨거든요.
◆ 김승배> 기온변화 행태를 보면 비교적 따뜻한 겨울날씨가 이어지다가 올해에는 찬 공기, 강한 한기가 내려오면서 기온이 뚝 떨어졌기 때문에 심리적인 추위가 더 크다고 봅니다.
◇ 박재홍> 그러니까 ‘따뜻한 겨울을 보내다가 갑자기 더 떨어지니까 더 춥게 느껴진다’ 이렇게 해석을 하시는 것 같고요. 조금 전에 서해안쪽 눈 얘기를 하셨습니다마는 전국적으로 예년에 비해서 눈이 어느 정도 내릴까 걱정하시는 분도 계시는데요.
◆ 김승배> 앞으로 남은 두 달 반 정도의 겨울철 날씨 전망을 해 보면요. 추위 자체는 사상 초유의 강한 추위로 고생하는 그런 겨울이 될 것 같지는 않습니다. 통상적으로 우리나라에서 기온이 오르락내리락을 반복하는 그런 겨울이 될 것 같고요. 이렇게 찬 공기가 확장할 때는 지금과 같은 눈구름이 또 계속 만들어질 것으로 보이거든요. 따라서 지금 비교적 눈이 많이 내리고 있는 겨울임에는 틀림이 없는데, 찬 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주기적으로 변하면서 눈은 자주 내리는 그런 겨울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 박재홍> 자주 내릴 것이다. 그러면 예년에 비해서도 더 많이 내릴 가능성이 있다 이렇게 보시는 건가요?
◆ 김승배> 지금까지 내린 일수나 눈이 쌓여 있는 걸로 보면 비교적 많이 내린 상태로 보이고 있습니다.
◇ 박재홍> 알겠습니다. 그러면 얼마 정도까지 이 한파가 계속 될 것인지 걱정하시는 분이 계신데. 언제 추위가 좀 풀릴까요?
◆ 김승배> 이번에 한기가 내려와서 찾아온 한파의 절정은 내일 아침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내일 아침 서울 영하 14도 정도까지 떨어질 것으로 보이거든요. 그렇게 된다면 강원도지방에는 오늘보다 더 기온이 더 떨어질 것으로 전망이 되고 있고요. 그런데 모레부터는 기온이 오를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이번 추위가 그렇게 오래 가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이 됩니다.
◇ 박재홍> 오래 가지는 않지만 내일은 더 추울 것이다. 이렇게 정리해 주셨네요.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김승배> 네.
◇ 박재홍> 한국기상산업진흥원의 김승배 홍보실장과 함께 날씨 전망해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