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명 'CBS라디오 <박재홍의 뉴스쇼>'를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은 CBS에 있습니다.
======================================================
■ 방송 : CBS 라디오 FM 98.1 (07:30~09:00)
■ 진행 : 박재홍 앵커
■ 대담 : 이인영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컷오프 통과, 정당혁명 요구 반영돼
-'실패하면 역적' 절박함의 표현
-민생이 우선, 미생 눈물 닦아줘야
-전략공천 퇴출, 公천이 아닌 私천
-당권대권 논쟁으로 발목잡히면 안돼
새정치민주연합의 차기 당권 경쟁은 박지원, 문재인, 이인영 후보의 삼파전으로 치러지게 됐습니다. 2.8 전당대회를 앞두고 어제 열린 예비경선 컷오프에서 이 세 분이 1차 관문을 통과했죠. 이른바 빅2 후보의 양강구도에서 변수로 떠오른 이인영 후보. '이제 반란은 시작됐다'고 밝혔습니다. 지금 만나봅니다. 이인영 의원님, 안녕하십니까?
◆ 이인영> 네, 안녕하세요.
◇ 박재홍> 순위는 알 수 없지만 어느 정도 득표인지 혹시 알고 계십니까?
◆ 이인영> 캠프에서 세어본 것으로는 '꽤 만만치 않은 득표를 했다', 이렇게 말씀은 드릴 수 있는데요. 확실하지 않으니까 구체적인 숫자는 말씀드리지 않겠습니다. 다만 당의 중심세력 교체와 또 세대교체 필요성에 공감하는 중앙 의원들이 꽤 많았습니다. '이인영이 정당 혁명의 길을 열어라', 이런 당심과 민심이 반영된 결과라고 받아들입니다.
◇ 박재홍> 어제 컷오프 통과 직후, ‘성공하면 혁명이고 실패하면 역적이다.’ 이런 말씀하셨네요. 어떤 의미인가요?
◆ 이인영> 반드시 우리 당의 혁신, 정당 혁명의 길을 열어내겠다는 각오를 말씀드린 것이고요. 이 과정에서 저의 모든 것을 걸고 낡은 정치, 과거의 정치, 오래된 정치 이런 것과 싸워서 이기겠다는 다짐을 말씀드린 겁니다.
◇ 박재홍> '실패하면 역적이다', 이렇게 아주 강하게 말씀하셨는데요.
◆ 이인영> 절박함의 표현이라고 우선 말씀드리겠고요. 또 이 과정에서 저는 퇴로 없이 모든 것을 걸고 전력을 다하겠다는 말씀을 다시 드리겠습니다.
◇ 박재홍> 그러면 '지금 개혁을 못한다면 새정치민주연합이 사실상 존재하기 힘들다', 이런 절박함의 표현이라고 봐도 될까요?
◆ 이인영> 네. 그리고 동시에 어떤 의미에서는 저를 통해서 그동안 저희 동년배 정치인에게 실망했던 국민과 당원들이 마지막 기회를 주신 것이기 때문에 반드시 정당 혁신과 혁명의 길에서 승리해야 한다는 또 다른 절박감이 있었다는 점도 말씀드리겠습니다.
◇ 박재홍> 동년배 정치인에 대한 실망도 얘기하셨네요. 그러면 386 정치인에 대한 기대가 컸지만 언젠가부터는 그런 기회가 사라졌다고 보시는 건가요? 왜 그렇게 진단하십니까?
◆ 이인영> 실제로 계파에 나뉘어져서 서로 다른 목소리를 냈고 또 우리들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는 따가운 질책과 비난이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또 저희들이 그렇게 잘못 행동한 측면도 있고요. 그러나 이번에 제가 잘나고 더 훌륭해서가 아니라 우리들이 하나가 되어서 새롭게 출발하고 하나의 목소리를 내겠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 박재홍> 계파의 문제도 있습니다만 사실 386 정치인에 대한 실망은 '콘텐츠의 부재 혹은 대안과 비전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의견도 있지 않겠습니까?
◆ 이인영> 그래도 우리 당이 복지당의 길을 가고 경제민주화의 길을 가던 과정에서 저희들이 보이지 않게 또 보이는 곳에서 상당히 많은 역할을 하고 새로운 정책과 노선을 개발했다는 점 만큼은 분명하고 자신있게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 박재홍> 그리고 어제 당명 교체와 관련해서는 민생을 챙기는 게 우선이다, 이런 말씀을 하셨는데요. 여기서 챙겨야 할 민생은 뭐라고 생각하십니까?
◆ 이인영> 우선 첫째는 월급쟁이들의 소득을 올려주고요. 또 아르바이트생들의 최저임금을 올려줘서 전체적으로 소득 주도의 성장과 관련한 우리 당의 정책을 분명히 하는 겁니다. 두 번째는 비정규직을 과감하게 줄여서 젊은 미생들의 고단한 삶을 개선하는 겁니다. 세 번째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경제를 만들어서 갑의 횡포로부터 을들의 눈물을 닦아주는 겁니다. 마지막으로 대북 투자경제를 활성화시켜서 한국 경제의 성장의 발판, 돌파구 이런 것을 여는 것이다, 이렇게 말씀드리겠습니다.
◇ 박재홍> 크게 경제와 관련된 문제로 집중하셨네요?
◆ 이인영> 그렇습니다. 문제는 혁신이고 경제라는 점을 분명히 말씀드리겠습니다.
◇ 박재홍> 그리고 정치 개혁 부분에 있어서는 핵심이 공천권 개혁일 텐데요. 계파정치를 없애기 위한 핵심적인 이슈가 될 텐데요. 공천권 문제에 대해서는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십니까?
◆ 이인영> 우선은 전략공천을 과감히 없애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미 자파는 심고, 타인은 배제하는 공천이 아닌 사천의 통로로 전락했기 때문에 없애겠습니다. 둘째는 사람의 재주로 또 기발한 아이디어로 공천하는 것이 아니라, 당헌·당규에 공천절차를 명시하고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를 보장함으로써 제도와 시스템으로 공천하겠다는 점을 분명히 말씀드리겠습니다. 마지막으로 비례대표를 당의 전략지역에 예컨대 강원, 충청, 영남과 같은 곳에 과감하게 배치해서 전국정당화의 길을 열겠다, 이 점을 약속합니다.
◇ 박재홍> 당헌·당규를 말씀하셨는데요. 그러면 제도가 그렇게 바뀌는 것 같지는 않은데, 새롭게 도입하시는 이를테면 박영선 의원이 주장하는 오픈프라이머리라든지100% 국민참여경선제라든지 이런 것도 생각하십니까?
◆ 이인영> 오픈프라이머리를 제도화하는 것에는 전적으로 찬성합니다. 다만 오픈프라이머리의 제도적 도입은 새누리당의 동의와 합의가 있어야 됩니다. 그러나 오픈프라이머리가 없더라도 우리의 공천 개혁은 있어야 하고요. 그 공천 개혁은 전략공천을 없애고 모든 공천과정에서 당헌·당규에 명시된 민주적 절차, 공천 절차대로 그대로 진행하는 것이다, 이런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 박재홍> 전략공천은 전혀 하지 않는다?
◆ 이인영> 네, 안하겠습니다.
◇ 박재홍> 알겠습니다. 그리고 문재인, 박지원 두 후보에 대해서 ‘두 후보는 사심이 있지만 나는 사심이 없는 후보다.’ 이런 차별성을 강조하셨는데요. 두 후보와의 차별성으로는 어떤 게 있을까요?
◆ 이인영> 이 두 분은 대표가 되셨을 경우에 자신을 지지했던 분들로부터의 요구 같은 것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생각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 점에서 저는 특정한 계파나 지역에 안주하지 않고요. 저는 그걸 초월해서 오직 혁신을 원하는 당심과 민심의 지지를 받을 것이기 때문에 공천개혁을 과감하게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점에서 제가 적임자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 박재홍> 그리고 문재인 후보에 대해서는 '당권과 대권 중 하나는 포기해야 한다', 이런 지적이 계속 있어 왔는데요. 의원님은 어떻게 보십니까?
◆ 이인영> 당권, 대권 포기와 관련해서 저는 지금 관심이 없습니다. 오직 제가 더 관심 있는 문제는 우리 당의 혁신이고요. 또 시급한 민생문제를 해결하는 정책 대안을 만드는 것이란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 박재홍> 그러면 '당권, 대권 분리는 하지 않아도 된다', 이런 의미로 봐도 될까요?
◆ 이인영> 이미 대권에 한 당사자일 수 있는 분이 전당대회에 뛰어들었고요. 그 논쟁을 반복하는 것은 소모적인 정쟁에 머무를 위험성이 너무 큽니다. 따라서 저는 그 논쟁에 묶여서 우리가 과거에 발목 잡히는 것이 아니라 미래의 민생과 우리 당의 혁신 문제에 더 주력해서 경쟁하겠습니다.
◇ 박재홍> 어제 3명의 후보로 압축됐는데 단일화 얘기가 벌써부터 나오네요. 기분 별로 안 좋으시겠습니다.
◆ 이인영> '단일화는 없다', 이렇게 말씀드리겠습니다. 지금은 단일화를 생각할 때도 아니고요. 또 저에게 변화와 혁신을 위해서 지지해 주신 분들의 뜻을 충분히 받들고 끝까지 완주하겠습니다.
◇ 박재홍> 알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새정치민주연합의 당원들과 국민들께 하고 싶은 말씀 있으시다면요?
◆ 이인영> 지금은 변화를 해야 할 때입니다. 마땅히 혁신을 해야 할 때고, 변화와 혁신이 지금의 시대정신이고 민심이라면 이인영을 지지해주십시오. 모든 것을 걸고 변화와 혁신의 길을 열어내겠습니다.
◇ 박재홍> 고맙습니다. 잘들었습니다.
◆ 이인영> 감사합니다.
◇ 박재홍> 어제 새정치민주연합 예비경선 컷오프를 통과한 이인영 후보를 만나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