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터뷰를 인용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 'CBS라디오 <박재홍의 뉴스쇼>'를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은 CBS에 있습니다.
======================================================
- 아이스클라이밍, 평창올림픽 시범경기로
- 동계올림픽 정식 채택 예정, 두세 번은 선수 뛸 희망
■ 방송 : CBS 라디오 FM 98.1 (07:30~09:00)
■ 진행 : 박재홍 앵커
■ 대담 : 송한나래 (아이스 클라이밍 선수)
최근 경북 청송 얼음골에 세계에서 빙벽을 가장 잘 오르는 사람들이 모여서 대결을 펼쳤습니다. 청송 아이스클라이밍 월드컵 얘기인데 이때 결승에서 드라마 같은 장면이 있었습니다. 종료벨이 울림과 동시에 한 여자선수가 결승점을 찍은 것인데 이 극적인 드라마의 주인공. 바로 우리나라의 송한나래 선수였습니다. 피겨여제, 빙속여제에 이어 빙벽여제의 탄생으로 산악계가 벌써부터 들썩이고 있는데 화제의 인터뷰. 송한나래 선수를 만나보겠습니다. 송한나래 선수 안녕하세요?
◆ 송한나래> 안녕하세요.
◇ 박재홍> 반갑습니다.
◆ 송한나래> 네, 안녕하세요.
◇ 박재홍> 제가 경기 영상을 봤는데요. 무슨 곡예를 보는 것 같았습니다. 일단 우승을 축하드릴게요.
◆ 송한나래> 네, 많이들 응원해 주시고 하셔서 좋은 성적이 있었던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 박재홍> 일단 아이스클라이밍. 일반인들이 약간 생소할 수도 있을 것 같은데 어떤 종목인가요.
◆ 송한나래> 아이스클라이밍은 일단 명칭적으로는 일단 빙벽이 맞고요. 요즘 공정성을 위해서 그리고 또 더 고난이도의 등반을 하기 위해서 인공적으로 만든 홀드나 구조물을 많이 사용하고 있어요. 그래서 어떻게 보면 섞여서 나온다고 보시면 돼요.
◇ 박재홍> 보니까 빙벽인 부분도 있고 아닌 부분도 있고 섞여 있는 거네요, 그렇죠?
◆ 송한나래> 네, 그렇습니다.
◇ 박재홍> 대단하시네요. 제가 영상을 봤는데 저는 거기에 붙어있으라고 해도 무서워서 못 붙어 있을 것 같은데. (웃음) 그 높은 높이에서 정말 대단하십니다. 그러니까 최근에 청송에서 열린 월드컵에서 우리나라 선수 중 최초로 1위를 하셨고. 몇 미터나 올라가신 거예요? 굉장히 높아보이던데.
◆ 송한나래> 대략 경기 벽의 높이는 한 20m 정도 되는 것 같아요. 그래서 결승전에서 등반의 높이는 20m고, 등반 시간은 9분으로 제한돼 있었어요.
◇ 박재홍> 9분 안에. 마지막에 보니까 꼭대기에서 손도끼 같은 걸로 버저를 딱 찍으시던데. 1초 남은 상황에서 농구로 치면 버저비트를 누르는 것처럼.
◆ 송한나래> (웃음) 그렇죠.
◇ 박재홍> 이번에 열렸던 아이스클라이밍월드컵. 어느 정도 대회인가요. 축구로 치면 월드컵. 영화로 치면 아카데미라고 생각을 하면 되는 건가요?
◆ 송한나래> 월드컵이 지금으로서는 가장 큰 대회로, 유명하고 또 등반을 정말 잘 하는 선수들이 출전하는 가장 높은 대회라고 보실 수 있어요.
◇ 박재홍> 와! 그런 대회에서 우리 송한나래 선수가 1등한 거 아니겠습니까? 마라토너 선수들은 뻥 뚫린 도로만 보면 무조건 달리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는데, 우리 송한나래 선수는 빙벽이나 괜찮은 탄탄한 벽 보시면 올라가고 싶다, 이런 생각 드세요?
◆ 송한나래> 네, 그렇죠.
◇ 박재홍> (웃음)
◆ 송한나래> 왜냐하면 항상 생각을 하는 게 등반에 대한 생각이잖아요. 그리고 특히 얼음을 보면 요즘 같은 때는 날씨가 따뜻하기 때문에 얼음이 잘 얼어 있는 곳을 찾기가 쉽지 않거든요. 그래서 그런 데만 있으면 조금 생각이 들죠.
◇ 박재홍> (웃음) 안전에도 유의하셔야 되는 것 아닙니까?
◆ 송한나래> 물론 그렇습니다. 얼음 같은 경우는 상당히 변수가 많은 편이에요.
◇ 박재홍> 녹을 수도 있고, 그렇죠?
◆ 송한나래> 구조물은 고정이 되어 있기는 하지만 자연물 같은 경우는 언제 무너질 수도 있고, 아니면 얼음이 조금 덜 얼어서 덜 탄탄하게 얼어서 부러질 수도 있고, 부서져내리는 경우도 있거든요. 그래서 안전에 좀더 많이 신경을 써야 하죠.
◇ 박재홍> 타고난 등반가셨어요. 4살 때부터 산에 오르셨다면서요.
◆ 송한나래> 제가 기억에 남는 거는 제가 아빠 등의 캐리어에 실려서 산에 많이 다녔었는데 그렇게 아빠 등에 매달려서 밑의 경치를 보고 또 등반을 같이 올라가는 느낌 있잖아요. 그런 기분이 되게 저한테는 기억에 남는 추억이었던 것 같고. 제가 사실 어렸을 때부터 겁이 없기는 했어요. 그래서 어디든 올라타는 걸 좋아해서 어렸을 때는 많이 혼나기도 하고 그랬죠.
◇ 박재홍> 그만 좀 올라가라.
◆ 송한나래> “너무 극성이다.” 이렇게 말씀하시기도 하고.
◇ 박재홍> (웃음) 어디를 올라가셨기에 혼이 나신 거예요?
◆ 송한나래> 집에서는 문고리 잡고 매달리는 것도 좋아했고요. 냉장고 문에도 매달려서, 문고리들 많이 망가뜨리고. 또 계단 뒤로 매달려서 매달려 있기도 하고 그래서 좀 위험하기도 하니까 엄마, 아빠가 보시기에는. 그래서 아무래도 아빠가 산악인이셔서 그 영향을 많이 받은 것 같아요.
◇ 박재홍> 아버님이 전문 산악인이셨으니까 어렸을 때는 등산용 캐리어에 따님을 같이 데리고 올라오셨고, 그러한 좋은 경험들이 산에 대한 두려움도 없게 했고 또 올라가는 걸 좋아하셨다, 그래서 이제 본격적인 클라이밍을 시작하셨습니다. 언제부터 시작하신 거예요?
◆ 송한나래> 저는 초등학교 4학년 때, 처음 시작을 본격적으로 한 것은 아빠가 인공암벽장, 실내 인공암벽장에 갔어요. 운동을 하시러. 거기 한번 따라갔다가 너무 예뻐 보이는 거예요. 이렇게 손으로 잡는 걸 홀드라고 하는데 되게 알록달록하고 저한테는 놀이터 같이 보기가 너무 좋아서 한번 매달려 보겠다고 했는데 이제 코치님 눈에 띄어서 한번 해 보지 않겠냐 이렇게 권유를 받았었어요.
◇ 박재홍> 그러면 뭐 피 속에, DNA 속에 뭔가 등반가로서의 그런 본능이 꿈틀거렸다 이렇게 봐도 될 것 같네요.
◆ 송한나래> 그런 게 없지 않아 있는 것 같습니다.
◇ 박재홍> 한 가지 또 가능성이 평창올림픽에서, 동계올림픽에서 이 종목을 볼 수 있을까 기대하시는 분도 있는데요.
◆ 송한나래> 지금 진행 상황으로는 작년에 소치올림픽에서 이미 쇼케이스를 한번 했고요. 그리고 평창올림픽에서도 시범경기로 한번 더 진행이 될 예정이라고 저는 들었어요. 그래서 그 이후부터는 정식종목으로 채택이 될 거라고 해서 지금 그렇게 따지면 제가 그래도 몸관리를 잘하고 한다면 두세 번은 선수로 뛸 수 있지 않을까 하는 희망이 있어요.
◇ 박재홍> 와, 올림픽 종목이 되면 대한민국 입장에서는 큰 재산이죠, 뭐. 올림픽 종목이 되고 또 새로운 꿈이 생겼으면 좋겠습니다. 말씀 잘 들었어요.
◆ 송한나래> 네, 감사합니다.
◇ 박재홍> 화제 인터뷰 아이스클라이밍 월드컵 우승자였죠. 송한나래 선수 만나봤습니다.
"주요 인터뷰를 실시간 속기로 올려드립니다.
인터뷰를 인용 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을 밝혀주십시오."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1/19(월) 빙벽여제 송한나래 "집에 남아나는 문고리 없었다"
2015.01.19
조회 8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