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터뷰를 인용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 'CBS라디오 <박재홍의 뉴스쇼>'를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은 CBS에 있습니다.
======================================================
■ 방송 : CBS 라디오 FM 98.1 (07:30~09:00)
■ 진행 : 박재홍 앵커>
■ 대담 : 김성완 (시사평론가)
◇ 박재홍> 김성완의 행간, 시사평론가 김성완 씨 나와계십니다. 어서 오십시오.
◆ 김성완> 네, 안녕하세요.
◇ 박재홍> 오늘 준비하신 건요?
◆ 김성완> 요즘 정치권에 셀프 칭찬이 유행인 모양입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이 자기합리화 칭찬일색인 자서전을 출간하더니 이번에는 새정치민주연합 문희상 비대위원장이 고별 기자간담회에서 스스로에게 A점이라는 평점을 줬습니다. 문 비대위원장의 낯 뜨거운 셀프 칭찬, 그 행간을 살펴볼까 합니다.
◇ 박재홍> 그러니까 비대위원 활동에 대해서 A학점을 준 거 아닙니까? 좀 높은 점수 같은데. 그러면 본인이 보기에 그동안 당 운영을 참 잘했다, 이런 말인가요?
◆ 김성완> 그렇죠, 우리 학교 다닐 때 A점 받기 어렵잖아요. 그러니까 본인 스스로가 생각할 때 내가 당을 잘 이끌었다, 이렇게 보고 있는 거죠. 문 위원장이 지난 대선 직후에 비대위원장을 한번 맡았었잖아요. 그때 스스로 학점을 평점을 몇 점을 줬을 거 같습니까?
◇ 박재홍> 그때 F였나요?
◆ 김성완> 맞습니다, F를 줬는데요. 그때나 이번이나 도와주십시오, 살려주십시오라고 이렇게 얘기했던 건 똑같은데. 이번에는 특별히 A점을 줬습니다. 그 이유를 이렇게 설명을 했는데요. 싸우지 않는 정치, 약속을 지키는 정치, 말보다 실천하는 정치에 앞장 선 결과다, 이렇게 얘기를 했습니다. 사실 이렇게 평가를 스스로, 내가 이렇게 잘했다고 하면 좀 낯 뜨겁잖아요. 역시 조조라는 별명답게 애매한 점수를 줬는데요. 문 위원장이 원래 매긴 점수는 A-였습니다.
◇ 박재홍> 그렇죠. A-.
◆ 김성완> A+도 아니고 A도 아니고 A-를 줬는데요. 비대위원장에 취임했던 지난해 당 지지율이 13% 정도 나왔거든요. 그런데 지금은 그 배가 넘는 30%에 육박하고 있으니까 본인이 보기에도 이 쇠고기도 아닌데 A++. A++를 줘도 시원치 않다. 이렇게 얘기를 했는데 조금 아쉬운 점이 있어서 플러스를 빼고 마이너스를 줬다고 합니다.
◇ 박재홍> 약간 아쉬운 점이 있어서. 그러면 김성완 씨는 문희상 비대위원장의 활동에 어떤 평점을 주고 싶으세요?
◆ 김성완> 저는 잘 줘야 C? C. 점수로는 과락을 겨우 면한 70점 정도 수준일 것 같은데요. 문 비대위원장 굉장히 고생을 많이 했죠. 그건 아마 많은 분들이 인정을 하실 겁니다. 18대 대선 직후에 한 번. 또 1년 4개월 만에 또 비대위원장을 맡았는데요. 두 번 다 당이 쪼개질 위기였습니다. 당의 외형을 유지하면서 당을 무난하게 이끌어 온 측면은 충분히 인정할 수 있다, 그래서 그나마 이 정도, C점수를 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박재홍> 낙제는 면했다, 과락을 면했다.
◆ 김성완> 네, 그렇습니다.
◇ 박재홍> 이렇게 좀 박한 점수를 주신 이유는 뭐예요?
◆ 김성완> 세 가지 측면인데요. 첫째, 무뎌진 개작두 때문입니다. 사람들이 또 욕이라고 오해를 하실 것 같은데요. 욕 아닙니다. 문 비대위원장이 자신의 가장 큰 치적으로 내세운 것이 바로 개작두 효과인데요. 고별기자간담회 때도 개작두가 효과를 봤다. 제1공로자는 개작두다 이렇게 표현을 했습니다. 문 비대위원장은 포청천이라는 별명답게 인명되자마자 해당행위를 하면 개작두를 치겠다, 이렇게 엄포를 했거든요. 당 기강확립을 위해서 하겠다 이런 건데. 개작두가 뭡니까? 사실 서양식으로 말하면 단두대 거거든요. 포청천이 평민들의 죄를 단죄했던 그런 겁니다. 계파갈등을 일으키면 그 당사자를 단호하게 처리하겠다는 뜻에서 이 말을 이제 사용을 했던 건데요. 그런데 지금 계파갈등이 사라졌습니까? 제가 볼 때는 오히려 사라진 게 아니라 말이 안 나오게 하려고 철저히 계파중심으로 당을 운영했던 게 아닐까, 이런 생각이 드는데요. 사실 이것도 제대로 못했죠. 당대표 선거 출마를 앞두고 친노, 비노간에 얼마나 시끄러웠습니까? 누구 특정 후보 꼭 집어가지고 나오지 말라, 이렇게 수십명의 의원들이 성명서까지 냈었잖아요. 그리고 당대표 선거 여론조사 직전에 문재인 후보와 친노측의 요구를 받아들여서 여론조사 집계 방식을 바꾼 것도 이것도 굉장히 나중에 큰 후한을 안길 것 같습니다. 그리고 특히 임기 중에 벌어진 가장 큰 해당행위, 대선 후보까지 했던 정동영 상임고문이 탈당하는 사태를 막지 못했다고 하는 측면도 있습니다.
◇ 박재홍> 그리고 또한 문희상 비대위원장이 대한항공의 처남 취업을 부탁했다, 이런 내용이 밝혀져서 오점이 됐죠.
◆ 김성완> 맞습니다. 이게 두번째 이유인데요. 문 위원장은 의원들에게는 개작두를 치겠다, 이렇게 얘기를 하면서 정작 자신은 야당 지도자의 도덕성이 얼마나 바닥인지 극명하게 보여줬는데요. 내용은 다 아실 것 같아요. 고교 선후배 사이인 대한항공 조양호 회장에게 처남의 취업을 청탁을 했죠. 이것도 부적절한데. 이 처남은 또 출근도 제대로 하지 않고 무려 8년 동안 8억원의 월급을 받아챙겼습니다. 또 이것도 모자라서 처남이 받은 월급으로 처남한테 진 빚을 서로 퉁치려고 하다가 소송을 당했고 판결문을 통해서 이런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는데요. 그런데도 사실 이게 해명이 조금 황당했었는데. 처남 일자리를 간접적으로 대한항공 직원에게 부탁한 적은 있지만 조 회장에게 직접 부탁한 사실은 없다, 이게 뭐 무슨 말인지는 모르겠지만.
◇ 박재홍> 직접 말은 안 했다, 이런 얘기 같은데.
◆ 김성완> 어쨌든 부탁을 했다는 얘기죠.
◇ 박재홍> 부탁을 한 거고.
◆ 김성완> 이렇게 발뺌을 했다가 별칭을 하나 얻었어요. ‘문땅콩’이라고. 이런 정도니까 사실 후한 평가를 주기는 조금 어렵죠.
◇ 박재홍> ‘포청천’에서 ‘문땅콩’이 되셨네요. 자, 그러면 세번째 이유는 뭔가요?
◆ 김성완> 야권의 수권 능력을 보여준 게 아니라 자기연민의 극치를 보여줬다, 이런 생각이 드는데요. 문 위원장은 여당과 쓸데없이 싸우는 정치를 하지 않았다, 이렇게 자화자찬을 했는데. 이게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사실은 여당이 자중지란에 빠져서 싸울 힘이 없어서 그래서 못싸웠던 게 아닐까, 이런 표현이 가장 정확하지 않을까 싶은데요. 새정치연합이 지지율이 지금 올라가고 있잖아요, 이건 뭐 사실인데. 이 지지율이 올라간 게 새정치연합이 잘 해서 올라간 거냐, 제가 볼 때는 그건 아닌 것 같거든요. 오히려 여당에 실망한 지지층에 혹시나 하는 마음에 여당 문을 두드리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런 생각인데요. 지지율이 조금 오르니까 여야 지지율 역전 현상이 일어나는 골든크로스를 눈 앞에 두고 있다, 이렇게 흥분하는 발언을 했거든요. 사실 야권 지지자들 중에서는 이 발언을 두고 굉장히 황당하다, 이런 반응들이 굉장히 많이 나왔었습니다. 이런 발언이나 이런 상황들이 자기연민, 자아도취가 아니고 무엇이겠습니까? 문 위원장 임기가 이제 이틀 남았잖아요. 2.8전당대회 때 새 당대표가 뽑히니까. 그다음에 직을 내려놓을 텐데. 새정치연합의 자기연민, 자아도취가 만약에 사라지지 않는다면 제가 볼 때는 문 위원장이 한 1년 뒤쯤에 다시 또 비대위원장으로 복귀하는 사태가 벌어지지 않을까 하는 그런 생각도 듭니다.
◇ 박재홍> 야당의 비상상황, 바뀌지 않을 수도 있다라는 그런 말씀이세요. ‘행간’ 시사평론가 김성완 씨였습니다. 고맙습니다.
◆ 김성완> 네, 고맙습니다.
"주요 인터뷰를 실시간 속기로 올려드립니다.
인터뷰를 인용 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을 밝혀주십시오."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2/6(금) [행간] 문희상 새정치 비대위원장의 셀프 칭찬
2015.02.06
조회 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