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명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를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은 CBS에 있습니다.
======================================================
■ 방송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FM 98.1 (07:3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노회찬 (전 정의당 대표)

-총선 전엔 아무 배라도 타야해.. 탈당 신당 바람 없을 것
-김무성 전략공천 불가? 전술공천으로 고쳐서라도 결국 타협
-반기문 대선주자? 검증 필요.. 미 의회 평 썩 좋지 않아
뉴스쇼 월요일의 코너, 뉴스게임 시간입니다. 통찰력으로 뉴스의 미래와 행방을 예견해 보는 코너인데요. 9월의 뉴스게이머는 이상돈 교수였고요. 10월의 뉴스게이머 한 분을 어렵게 모셨습니다. 항상 촌철살인의 논평으로 우리 막힌 가슴을 뚫어주는 분인데 일단 한번 불러볼까요? 안녕하세요!
◆ 노회찬> 네, 안녕하세요. 노회찬입니다.
◇ 김현정> 정의당 노회찬 전 대표가 10월의 초대 손님으로 모셨습니다. 저희가 누구를 모실까 논의를 많이 했는데, 어떤 저희 스태프가 그러더라고요. 노회찬 전 대표는 뉴스게임 이 코너를 위해서 태어난 분이다. (웃음) 기대하겠습니다.
◆ 노회찬> 네.
◇ 김현정> 오늘 일단 예측해 볼 첫번째 주제는, 지난주 내내 시끄러웠던 여당 내 공천 관련된 다툼들. 여당의 총선 헤게모니가 청와대와 친박에게 갈 것이냐, 김무성 대표에게 갈 것이냐. 결국 누가 웃게 될 거라고 보십니까?
◆ 노회찬> 내년 총선과 관련한 민심을 보면 두 분 다 울게 될 것 같은데. 지금 돌아가는 걸 보면 경우에 따라서는 두 분 다 웃을 수도 있겠다, 그런 생각도 들고요.
◇ 김현정> 아니, 이게 무슨 수수께끼 같은 말씀이세요? 둘 다 울 수도 있고 둘 다 웃을 수도 있다?
◆ 노회찬> 한 분은 웃고 한 분은 우는 경우는 오히려 저는 적다고 보거든요. 왜냐하면 두 분 다 사실은, 새정치연합 내부와 달리 이건 대선후보끼리 경쟁이잖아요. 그런데 여기 한 분은 이미 대통령이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경쟁관계도 있지만 운명공동체적 관계 측면이 더 크기 때문에 결국에는 둘 다 이렇게 함께 가지 않을까 저는 그렇게 생각됩니다.
◇ 김현정> 한 배를 타게 될 것이다. 그러면 먼저 둘 다 우는 경우는 어떤 경우입니까?
◆ 노회찬> 둘 다 우는 경우는 이제 총선에서 지는 것이고, 총선을 패배하게 되면 김무성 대표는 대권 물러나야 되는 거고 대선 후보로서의 가능성이 이제 상실되어 간다라고 볼 수 있고요. 그리고 이제 대통령도 총선 지는 것이 대통령에게 좋은 게 아니죠. 그리고 총선에서 지는데, 친박계가 부상하는 상황은 가능성이 매우 떨어진다고 봅니다.
◇ 김현정> 그러면 이걸 일단 이 공천 주도권을 두고는 어느 쪽이 이길 거라고 보세요? 예를 들어서.
◆ 노회찬> 저는 타협을 할 거라고 보거든요.
◇ 김현정> 타협을 할 거라고 보시는 거예요? 그런데 김무성 대표는 내가 있는 한 전략공천은 한 석도 없다라고 몇 번이나 이야기했거든요.
◆ 노회찬> 전략공천 안 하고 전술공천하면 되죠.
◇ 김현정> (웃음) 전술공천. 그건 무슨 수수께끼 같은 말씀이세요?
◆ 노회찬> 전략공천 용어는 안 쓰지만 또 다른 방식의 공천. 예를 들면 당헌에 나와 있는 우선 추천지역이라거나 그런 조항을 이용해가지고 사실상 전략공천을 다른 이름으로 할 수 있거든요. 그리고 저는 반드시 하게 된다고 봅니다
◇ 김현정> 그러니까 전략공천이라는 말은 안 쓰지만 그 용어를 다른 용어로 바꿔서 결국은 사실상의 전략공천을 하는 방식으로 타협할 것이다.
◆ 노회찬> 그렇죠. 지금 당헌에 보면, 새누리당 당헌에 보면 이제, 불리한 지역, 공천 신청자들의 경쟁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지역은 당에서 이렇게 공천 기구에서 공천을 할 수 있게 돼 있거든요. 이런 것이 사실은 전략공천, 이것도 필요한 부분이기도 하거든요. 이걸 도입해서 이 조항을 살려서, 활성화시켜서 도입하는 방식으로 해서 타협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렇게 보입니다.
◇ 김현정> 유승민 전 원내대표는 청와대에 끝까지 맞서다가 원내대표 자리에서 내려왔거든요. 김무성 대표는 그렇게까지 할 가능성은 없다고 보시는 거예요?
◆ 노회찬> 저는 그렇지 않다고 보고요. 제가 다른 분을 평가하기가 어렵습니다마는, 명분보다는 실리를 더 중시하는 스타일도 있고요. 그리고 이번에도 결국에 맞서서 얻을 게 뭐겠느냐라는 거죠. 왜냐하면 총선만이 아니고 총선 이후에 대선 국면에서 노리는 바가 있기 때문에 제가 볼 때는 김무성 대표가 청와대, 현 대통령과 척을 지지 않으려고 해 나갈 거다.
◇ 김현정> 김무성 대표는 지금 이 공천보다도 그 다음 상황, 총선보다도 그 다음 상황, 대선을 바라보고 있는 사람이기 때문에 청와대와 결정적으로 척지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렇게 보시는 거군요.
◆ 노회찬> 네.
◇ 김현정> 내일을 사는 정치인이기 때문에, 미래를 보는. 이 예측도 확신도 얼마나 됩니까? 우리 이것도 해야 되잖아요. (웃음)
◆ 노회찬> (웃음) 한 51%죠. 저는 청와대가 먼저 내치지 않는 한 김무성 대표가 청와대에 척을 지지 않을 거라는 데 500원을 겁니다. (웃음)
◇ 김현정> (웃음) 500원밖에 안 거십니까? 도박은 좋은 건 아니니까 500원 알겠습니다.
◆ 노회찬> 이건 도박이 아니거든요.
◇ 김현정> 뉴스게임, 노회찬 전 의원 지금 함께하고 있습니다. 대선 얘기가 나왔으니 말인데요. 반기문 UN사무총장이 대선 후보설이 김무성 불가론과 엮이면서 계속 여당을 중심으로 흘러나옵니다. 반기문 바람, 이건 어떻게 계속 불 거라고 보십니까?
◆ 노회찬> 아직 압도적으로 우월한 대선 주자가 없는, 여야에 없는 상황에서는 항상 바깥에서 또 새로운 후보를 통해서 판을 조정하려는 그런 유혹이나 시도가 늘 있을 수 있는 거죠. 그래서 실제로 이것이 성사될 것이냐 이건 아직 시간이 워낙 많이 남았기 때문에 반기문 총장 자체가 내년 말까지가 임기이지 않습니까?
◇ 김현정> 그렇죠.
◆ 노회찬> 그 임기를 중도에 어떻게 할 수 없는 것이고 임기 다 채우면 사실은 바로 2017년이 됐는데 2017년에 바로 뛰어들 수 있을 것인지. 그리고 또 정치를 안 해 본 분인데 정치적 감각이 있다는 평도 있지만 일단은 무엇보다 국민이 모르잖아요. 정치 철학이 무엇인지 스타일이 무엇인지 리더십이 어떤 것인지 잘 모르기 때문에, 결국 또 어찌 보면 지금 과연 재선까지 한 UN사무총장이지만 UN사무총장으로서도 평가가 어떤지도 따져봐야 되거든요. 이를테면 미국 의회에서는 썩 좋은 평가가 아닌 걸로 나오고 있습니다.
◇ 김현정> 그런 얘기도 나오죠.
◆ 노회찬> 그렇기 때문에 또 어찌 보면 한국을 대표해서 사무총장을 맡고 있는 건 아니지만 한국인 출신이기 때문에 UN사무총장으로서의 인권이나 세계 평화를 위한 기여가 대선 후보로서의 기여보다도 못하다고 볼 수는 없거든요. 그래서 UN사무총장으로서 잘 이렇게 임기를 마무리하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한 과제가 아닌가라는 그런 평가도 있을 수 있습니다.
◇ 김현정> 결국은 지금 이런 바람이 부는 게 사실은 2년 후에도 계속 불 거라고 아무도 장담 못한다, 이 말씀이시군요?
◆ 노회찬> 지금 대선후보 여론조사에 등장하는 분들 중에 총선 이후에도 계속 그 리스트에 계시지 못할 분들도 많을 거라고 봅니다
◇ 김현정> 그렇습니까? 하긴 정치라는 것이 그렇죠. 정말 살아 움직이는 생물인데 어떻게 2년 후를 예측하겠는가 이런 말씀이시기도 해요. 유승민 전 원내대표 얘기 잠깐 하다가 넘어왔습니다마는, 일각에서는 유승민 의원하고 경제민주화 주장하는 의원들 몇몇이 뭉쳐서 중간, 야권 인사들까지 합쳐서. 어떤 제3신당을 만들 수도 있다는 예측이 계속 나옵니다, 그런 소문들. 이것은 어떻게 보세요?
◆ 노회찬> 지금 정당에 대한 불신, 불만이 새로운 당에 대한 희망 내지 예상으로도 표현되기도 하는데, 저는 총선이 얼마 남지 않았기 때문에 선거를 앞두고 그 당에서 강제 하선이 아닌 상태에서 스스로 자발적으로 배에서 내릴 사람은 대단히 적다고 봅니다. 새정치연합 같은 경우에도, 호남 일부 배에서 스스로 내려서 무소속으로 나가거나 새로운 당으로 나가도 당선 가능성이 그나마 있는 새정연의 호남 후보가 아닌 다음에야 그럴 가능성이 굉장히 적다고 보고요. 그리고 새정치민주연합에서도 경제민주화 주장하는 그런 분들이 비주류에 많지 않기 때문에 그런 식으로 해서 제3의 정당이 만들어진다는 것도 가능성이 적지 않나 보입니다.
◇ 김현정> 총선 바로 코앞에 두고 배에서 뛰어내리는 게 그렇게 쉬운 일이 아니군요.
◆ 노회찬> 그렇죠.
◇ 김현정> 보통 강심장 아니면 안 되는 거군요.
◆ 노회찬> 보통 보면, 선거 때 당선되기 위해서 아무 배에나 올라타는, 아무 데에나 배가 있으면 올라타는 그런 상황인데. 멀쩡한 배에서 내리는 경우는 뒤에서 밀거나, 누가. 아니면 배가 침몰하거나 이런 상황 아니고는 있을 수 없죠.
◇ 김현정> (웃음) 그거 아니고는 없다. 아무 배라도 올라타야 될 시점에 잘 가고 있는 배에서 내리기는 정말 쉽지 않다, 이런 말씀. 노회찬 의원. 이제 마칠 시간 다 돼가는데 오늘은 하여튼 우리 몸풀기 정도했습니다, 첫 회. 뉴스게임 해 보신 소감 어떠세요?
◆ 노회찬> (웃음) 상당히 아슬아슬하고 재미있네요.
◇ 김현정> (웃음) 아슬아슬하고. 다음 주도 날카로운 예측, 다음 주는 야당 중심으로 해서 기대해 보겠습니다.
◆ 노회찬> 네.
◇ 김현정> 고맙습니다. 정의당 노회찬 전 대표와 함께 10월 뉴스게임 첫 문 열어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