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명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를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은 CBS에 있습니다.
======================================================
■ 방송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FM 98.1 (07:3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김용택 (섬진강 시인)

‘옥새 파동, 공천학살, 척결, 존영.’ 요즘 정치뉴스 접하다 보면 많이 보고 들으시는 단어죠?총선이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자극적인 용어들이 정치판에 쏟아지고 있는데요. 지금 이 상황에 대해서 할 말이 많다고 손을 번쩍 든 분이 있습니다. 오늘 화제의 인터뷰에서 직접 만나보죠. 섬진강의 김용택 시인 연결이 돼 있습니다. 김용택 시인 안녕하세요.
◆ 김용택> 안녕하세요.
◇ 김현정> 섬진강처럼 물 좋고 공기 좋은 데 사시는 분들도 뉴스는 매일 보고 들으시는 거죠?
◆ 김용택> 그렇죠. TV라든가 신문 보면 너무 험한 말들이 돌아다니네요. 돌멩이가 돌아다니면 잘 주워서 담을 쌓으면 좋은데. (웃음) 쓸데없는 말들이, 쓸모 없는 말들이 돌아다니더라고요.
◇ 김현정> 돌멩이가 돌아다니면 그걸로 집을 쌓으면 좋은데.
◆ 김용택> 돌담을 쌓으면 좋잖아요.
◇ 김현정> 그 돌멩이에 우리가 맞으니까 문제예요, 맞아서 아프니까.
◆ 김용택> 그렇죠.
◇ 김현정> 그렇죠. 들었던 단어들 중에 제일 좀 요사이 황당했던 단어가 있다면?
◆ 김용택> 살생, 존영. 옥새, 옥새라는 말이 제일 많이 걸리더라고요.
◇ 김현정> 옥새니 존영이니 이런 단어들 참 우리가 일상생활에서는 쓰지 않는 단어들인데요.
◆ 김용택> 우리가 역사 드라마에서나 보는 거잖아요. 옛날 역사 드라마에 붙는 말이잖아요.
◇ 김현정> 그러니까, 대구에서 새누리당을 탈당해서 무소속으로 출마한 후보들한테 새누리당이 사무실에 걸어놓은 박 대통령 사진을 내놔라하면서, 존영을 내놔라 이렇게 요청을 하면서 나온 단어인 거죠?
◆ 김용택> 그렇죠. 존영이라는 말이 우리가 그냥 우리 일반인들이 쓰는 말이 아니잖아요. 그냥 사진이라고 우리는 말하잖아요, 사진.
◇ 김현정> 그렇죠.
◆ 김용택> 그런데 존영이라는 말은, 아마 그분들만 사용하는 말이 아닐까, 요새. 그런 생각이 들어요. 공부도 많이 하고 나라를 위해서 일한다는 사람들 입에서 그런 말들이 나온다는 게 이게 정말 너무... 어린이들 표현대로 하자면 ‘헐’이죠, 헐. 어이없죠. (웃음)
◇ 김현정> 어이없는 ‘헐’. (웃음) 제가 무식해서 그런지 저는 존영이라는 단어를 이번에 처음 알았어요.
◆ 김용택> 저도 요 근래에 처음 들은 것 같아요. 어진이라는 말은 있거든요. 그래서 어진이라는 말은 많이 들었는데 존영이라는 말은 요 근래에 들은 말이 아닌 것 같아요.
◇ 김현정> 너무 높이다 보니까 이렇게 된 건가요?
◆ 김용택> (웃음) 진짜 재밌는 일이죠. 정말 막장드라마를 보는 것 같아요. 막장드라마가 그냥 나온 게 아니에요.
◇ 김현정> 현실이 받쳐주니까 나오는 겁니까?
◆ 김용택> 그렇죠. 현실이 받쳐주죠. 그런데 사실은 이런 험한 말들이 언론의 책임이 더 커요, 난 그렇게 생각해요.
◇ 김현정> 언론의 책임. 그게 확대 재생산될 수 있어요.
◆ 김용택> 계속 반복돼서 국민들의 귀에 박혀요, 이런 말들이.
◇ 김현정> 그럴 수 있겠네요.
◆ 김용택> 교육이 되는 거죠. 이런 험한 말들이 교육이 되어서 부작용을 일으키는 거죠, 사회에.
◇ 김현정> 그럴 수 있네요. 이런 단어들을 적절하게 순화해 보자면 어떻게 쓸 수 있을까요?
◆ 김용택> 정치를 잘하면 되겠죠.
◇ 김현정> 제일 걱정되는 건 아이들 걱정이 되시는 거예요?
◆ 김용택> 아이들 걱정뿐만 아니라, 사람들, 일반인들의 일상적인 삶 속에서 그 말들이 또 반복될 수가 있거든요.
◇ 김현정> 그리고 또 하나 걱정되는 건 정치에 대한 불신과 혐오를 더 키우지않을까 싶어요.
◆ 김용택> 이루 말할 수가 없죠. 나라를 위하겠다는 사람들이, 그렇게 말들을 함부로 해서 ‘진짜 선거 하기 싫어.’ 이런 말들이 입에서 저절로 나오게 만들고 있잖아요.
◇ 김현정> 이번처럼 이렇게 정치에 대한 냉소주의, 무관심이 팽배한 선거 저는 처음 보는 것 같아요.
◆ 김용택> 무서운 일이죠, 사실은. 저희들이 지금 무서운 상황 속에 놓여 있는 것 같아요. 정치를 통해서 우리가 세상을 바꾸잖아요. 말이라는 게 한 시대를 정리하는 건데. 정치라는 게, 선거라는 게 말하자면 한 시대를 정리해서 새로운 말을 탄생시키는 거잖아요.
어떤 새로운 시대적인 말을 탄생시켜서 많은 분들이 그 말을 따라서 하는 건데, 그 말이 사라지고 이런 말하자면 무시무시한 말들이 우리 사회를 지배하게 되는 거죠.
◇ 김현정> 막말이 쏟아지고 참 듣기 싫은 단어들이 쏟아지고 하니까 사람들은 점점 정치를 더 멀리하고 채널 돌려버리는.
◆ 김용택> 정치를 싫어하게 되고. 아이고, 저 사람들 자기들끼리 하는 일이지. 자기들 위해서 하는 일이지, 우리하고 무슨 상관이야 이런 생각을 하는 거죠.
◇ 김현정> 그렇게 우리가 무관심하다 보면 그게 다시 비수가 돼서 우리를 찌르는 거 아닙니까?
◆ 김용택> 그럼요. 그래서 저는 이럴 때일수록 우리 국민들이 적극적으로 선거에 참여해서, 말하자면 시대를 정리해야죠. 이런 날들을 정리해서 새로운 말을 탄생시키고 부활시켜야 되는 것이죠.
◇ 김현정> 이럴 때일수록 더 관심 가지고 좋은 사람 뽑고 좋은 사람이 좋은 정치, 좋은 말 할 수 있도록 우리가 이끌어야 된다.
◆ 김용택> 당연합니다.
◇ 김현정> 그래요. 김용택 시인 지금 만나고 있습니다. 그나저나 3월의 마지막 날입니다, 오늘이. 3월 31일.
◆ 김용택> 그러네요. 이제 보니까.
◇ 김현정> 마지막 날 아침에 지금 섬진강 시인을 연결했는데 제가 섬진강의 봄 풍경을 여쭙지 않을 수가 없네요. 당연히 예쁘죠, 오늘?
◆ 김용택> (웃음) 섬진강가에 지금 버드나무 이파리가... 연두색이 정말 아리아리하게 피고 있습니다.
◇ 김현정> 아리아리하게. (웃음) 그 분위기를 우리말로 한 단어로 표현해 본다면, 예쁜 말 뭐가 떠오르세요?
◆ 김용택> 요새 봄이니까 새싹.
◇ 김현정> 아, 새싹.
◆ 김용택> 새싹이라는 말이 너무 좋아요. 우리가 언어라는 게 말에 고향이 있어요. 제자리에 있는 거죠, 말이. 제자리에 없을 때 말이 허공을 떠돌면서 사람들을 협박하고 말하자면 무섭게 하고 그것이 거짓이 되는 거죠. 그런데 말이 제자리를 찾으면 너무 아름다운 거예요. 요새 봄이니까 새싹이 탁 눈을 뜨고 있죠.
◇ 김현정> 새싹이라는 단어가 떠오르는 아침. 아우, 좋습니다.
◆ 김용택> 새싹이라는 말, 요새는 정말 듣기 좋은 말이더라고요.
◇ 김현정> 정치권에도 좀 푸릇푸릇한 빛들이 이번에 많이 보이기를 바라면서 좋은 사람들 뽑히기를 바라면서 오늘 인사드리죠.
◆ 김용택> 정말 새싹 같은 인물들이 세상에 태어나서 우리들에게 아름다움을 선사하는 그런 선거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 김현정> 김용택 시인 오늘 고맙습니다.
◆ 김용택> 감사합니다.
◇ 김현정> 섬진강 시인 김용택 씨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