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명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를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은 CBS에 있습니다.
======================================================
■ 방송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FM 98.1 (07:3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홍문표(새누리당 사무총장 대행)

- 비대위 누구를 빼라? 치사한 얘기
- 더 좋은 수 있으면 추가 가능
- 불난 집 불 꺼야지 기름 부어서야
- 유승민 당연히 복당해야
- 원내대표 비대위원장 겸임 논란, 중진회의 논의 가능
“생각이 다르면 당에서 나가라”. 친박계에서는 이런 말까지 나왔죠. 극한 내홍에 빠진 새누리당, 오늘 4선 이상 중진들이 모여서 중진 연석회의를 엽니다. 중대기로가 될 것 같습니다. 지금부터 연결할 분은요. 전국위원회가 무산되던 그날 그 발표를 직접 했던 분이죠. 홍문표 사무총장 대행입니다. 정진석 원내대표가 지명을 했으니까 사실상 정진석 원내대표와 거의 비슷한 생각을 가졌다, 한 마음이다, 이렇게 볼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연결해 보죠. 홍문표 사무총장님, 나와 계십니까?
◆ 홍문표> 네, 안녕하셨어요?
◇ 김현정> 안녕하시냐는 인사를 저는 차마 못 드리겠네요.
◆ 홍문표> 그래요? 죄송합니다.
◇ 김현정> 지난 화요일 전국위가 무산되었다는 산회 선언을 직접 하시면서 참담하다고 그러셨어요.
◆ 홍문표> 네, 네.
◇ 김현정> 며칠 간 돌아가는 당 상황 보면서는 심정이 어떠십니까?
◆ 홍문표> 글쎄, 다행인 것은 우리 당에 중진이 19분이 계신데요. 우리 당에서 오랜 연륜과 경륜을 인정을 받는 분들인데, 그동안은 중진회의를 하면 전원참석이 거의 어려웠었어요. 그런데 오늘은 이렇게 막중한 현안문제, 이런 것들을 우리가 해결하기 위해서 거의 다 참석하시는 걸로 이렇게 확인이 되고 있습니다.
◇ 김현정> 거의 다 친박, 비박할 것 없이 다.
◆ 홍문표> 네.
◇ 김현정> 그러면 거기서 뭔가 해결책이 나올 거라고 보십니까?
◆ 홍문표> 기대를 많이 하고 있습니다. 또 당이 위기에 있을 때는 이렇게 중진들이 모여서 좋은 안도 주신 그런 과거도 있고, 또 지금 비상한 상황에서 많은 중진들이 오신다는 자체도 어떤 해결점을 찾기 위해서 오실 것 아닌가 하는 기대를 가지고 있습니다.
◇ 김현정> 그렇게 보세요? 뭔가 회의가 열리기 전에 물밑으로 많은 대화도 며칠 간 하신 거죠, 봉합책을 찾기 위해서.
◆ 홍문표> 이런 저런 대화는 있었습니다만 구체적인 것은 참 그렇습니다.
◇ 김현정> 뚜껑을 좀 열어봐야 하는 건가요, 그건?
◆ 홍문표> 네.
◇ 김현정> 친박계가 요구하는 게 몇 가지가 있습니다. 우선 “비대위와 혁신위원장을 이렇게 선정한 데 대해서 정진석 지도부가 사과를 해라”. 혹시 사과 고려하고 계십니까?
◆ 홍문표> 글쎄, 뭐 저는 사과라는 부분으로 지금 이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은 온당치 못하다고 보고요. 우리 당이 어려워지면 그 동안 몇 가지 원칙을 지켜서 여기까지 왔는데, 정 원내대표를 우리가 지금 대표로서 인정하고 또 당에서 역할을 지금 해 주고 계신 것은 지난 번 당선자대회에서 소위 원내 국회의원들이죠. 거기서 투표로 당선된 분입니다, 이분이.
◇ 김현정> 그렇죠.
◆ 홍문표> 공히 우리가 그렇게 인정을 해 주고 많은 표로 당선을 시켜놓았던 것이고. 또 이번 인선에는 몇 가지의 절차가 있었어요. 원내대변인, 부대변인 또 부대표 또 이번에 비대위원. 이런 것들이 공식적으로 권한을 줘서 그 권한 안에서 지금 한 것인데, 이거를 뭐 전부 사과해라. 또 뭐를 어떻게 좀 해라, 이렇게 일정한 몇몇 사람들이 주장을 한다면 이 당을 어떻게 운영하겠습니까? 그래서 어렵지만 지금껏 해온 대로 원칙을 지키고.
◇ 김현정> 원칙.
◆ 홍문표> 거기에 부족한 것이 있다면 조금 더 상의를 해서 추가를 한다든지 또 어떤 논의를 해서 어떤 방법을 찾는 건 모르지만, 이건 뭐 우리가 뽑아 놓고 며칠 되지도 않아서 사과하라, 이렇게 나가는 것은 저는 경우에 맞지 않는다고 봅니다.
◇ 김현정> 경우에 맞지 않는다. 그런데 “정진석 지도부가 절차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소통과 협치를 안 했다. 우리하고 상의도 안 했다. 총선에 대한 책임이 있는 김무성 전 대표 측근들을 넣어서 비대위라니 이게 무슨 혁신이냐, 말도 안 된다”, 이런 얘기들 하시던데요?
◆ 홍문표> 그러면 이걸 누구의 결재를 받고 그분이 상의해서 사람을 넣고 빼겠습니까? 얼마나 치사한 얘기입니까? 아니, 당대표, 원내대표로 뽑아놓고 나하고 상의 안 했으니까 너 물러나라, 사과해라. 그건 아니지 않습니까, 그렇게 해서는요.
◇ 김현정> 치사한 얘기.
◆ 홍문표> 그리고 여기에는 이제 무슨 비박이니 친박이니 자꾸 이 논제가 되는데요. 방금 말씀드린 대로 대변인이나 부대변인, 부대표 이게 거의가 다 친박입니다. 80% 이상 다 친박이예요. 그래도 이거 갖고 누구 얘기 한마디 하지 않았습니다.
◇ 김현정> 비박계에서 누가 그걸 가지고서 태클 건 적이 있느냐?
◆ 홍문표> 한 사람도 얘기한 바가 없죠. 그런데 굳이 비대위원에서 몇 분들 즉 친박이라고 하는 분들이 안 들어갔다 해서 이렇게 판 자체를 깨는, 이런 모순, 이것은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 김현정> 있을 수 없는 일. 아니, 아예 친박계에서는 “당을 지금 리모델링하는데 친박이 다수 차지하고 있는 상황인데도 소수가 이렇게 생각이 다르면 그 소수가 나가라”. 이런 얘기까지 나왔어요.
◆ 홍문표> 그러니까 그것은 상식을 벗어난 경우에 잘못된 얘기가 아닙니까? 그걸 지금 상식이라고 얘기할 수 없잖아요. 지금 집에 불이 나 가지고 물 한 방울이라도 모아서 불을 꺼야 하는데 거기다 기름을 부어서 되겠습니까? 우리 국민들이 지난번에 전국위원회를 보고 나서 지금 ‘새누리당이 준엄한 심판을 받고도 아직도 정신을 못 차렸다’는 것 아닙니까? 우리는 지금 자중하면서 좋은 지혜를 모을 때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 김현정> 나가라, 이런 이야기는 생각할 일의 가치도 없다, 이렇게 보시는거군요.
◆ 홍문표> 그렇습니다.
◇ 김현정> 알겠습니다. 원칙 플러스 조금 추가할 게 있다면 추가하겠다. 이런 말씀을 조금 전에 하셨어요, 오늘 중진회의 열어서 원칙은 지키되 추가할 게 있으면 추가하겠다. 그럼 저는 이 순간 원칙은 뭐고 추가할 건 뭔가, 이게 궁금해지는데요. 우선 원칙은 뭡니까, 꼭 지켜야 하는 것.
◆ 홍문표> 원칙은 지금까지 하고 있는 것을 원칙으로 봐주셔야 되겠고요.
◇ 김현정> 그렇다면.
◆ 홍문표> 그리고 추가라는 부분은, 우리 중진의원님들 모신 자리에서 지금까지 한 것보다 더 상수(좋은 수)가 혹시라도 나오면, 그런 것은 당의 진로를 위해서 또 당의 활성화를 위해서 우리가 받아주는 그런 모습도 저는 지혜로운 것이 아닌가 하는 그런 개인적인 생각을 갖고 말씀을 드린 겁니다.
◇ 김현정> 친박계에서는 김용태 혁신위원장은 이미 사퇴를 했고 이혜훈, 김영우 의원도 비대위에서 빼라. 이 요구를 같이 했었거든요. 이것은 어떻게 보세요.
◆ 홍문표> 조금 전에 말씀드린 그 범주에서 말씀을 드린다면, 누가 감히 원내대표에게 권한을 주어서 우리가 뽑은 위원들을, 우리 스스로 대표로 인정해 놓고 누구를 빼라 넣으라는 게 말이 되겠습니까?
◇ 김현정> 말이 안 된다?
◆ 홍문표> 그럼요.
◇ 김현정> 뺄 생각 없으시군요. 일각에서는 “어쨌든 상황을 봉합은 해야 되지 않느냐. 그러니까 이 분들이 스스로 사퇴하는 방법은 어떻겠느냐” 이런 말도 나오는데, 권유할 의향도 있으세요?
◆ 홍문표> 글쎄, 아시는 바와 같이 그날 상견례 끝나고 그리고 그 이튿날 전국대회 열어서 이런 상황이 왔지 않습니까?
◇ 김현정> 그렇죠.
◆ 홍문표> 숨 쉴 사이도 없었고 그냥 어느 분한테 “앞으로 할 거냐, 안 할 거냐, 지금 어떠냐” 이걸 물어볼 겨를이 아니기 때문에, 지금 그분들의 의견 듣는 그런 상황이 못 되고 또 있을 수도 없는 일이라고 저는 봅니다.
◇ 김현정> 기본적으로 그분들은 함께 가는 거다. 원칙이다. 그렇다면 친박계 몇명 의원을 비대위원에 추가하는 방법, 이거는 생각할 여지가 있고요?
◆ 홍문표> 글쎄, 지금 이제 그것이 우리 당에 전체로 봐서 상수(좋은 수)라고 본다면 많은 논쟁을 하면서 우리가 또 좋은 방법을 찾아야 되겠죠.
◇ 김현정> 알겠습니다. 이거는 뭐 친박계가 받아들일지 어떨지는 모르겠습니다마는 그건 논의가 가능하다.
◆ 홍문표> 네, 네.
◇ 김현정> 원유철 전 원내대표는 어제 이런 말을 했습니다. “정진석 원내대표가 원내대표와 비대위원장 두 가지를 다 맡는 게 어깨가 무거우실 테니까 비대위원장직은 내려놓으시는 게 어떻겠느냐”, 어떻습니까?
◆ 홍문표> 그러니까 당을 그동안 이끌어주셨던 지도부들이 모이는 상임고문단 회의가 있어요. 또 아까 말씀드린 당선자 대회도 있었고요. 지금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까지 같이 겸임한다는 것이 거기서 나와서 거기서 결정된 상황들을 결국은 지금 정진석 대표가 지금 이끌고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그것을 지금 이런 상황에서 다시 또 재론하자고 나온다면, 또 하나의 문제를 우리가 안고 가는 문제가 되기 때문에 그런 문제는 상당히 심사숙고해야 할 문제라고 봅니다.
◇ 김현정> 심사숙고. 그러니까 고려의 여지가 있기는 있습니까?
◆ 홍문표> 제 개인적으로는 여지가 없는데요. 개인의 의견보다는 당 전체 논의가 중요하기 때문에 오늘 중진회의 같은 것을 통해서 한 번 의견 개진을 할 수 있지 않겠는가, 이렇게 전망을 해 봅니다.
◇ 김현정> 원내대표직 내려놓는 건 이건 뭐 어불성설이고요.
◆ 홍문표> 그럼요.
◇ 김현정> 그럼요. 그런데 일각에서는 정진석 원내대표 얘기가 나왔으니 말입니다만, 이렇게 이분 밀고 나가시다가, 소신대로 하다가 제2의 유승민 되는 거 아니냐, 이런 얘기 나와요.
◆ 홍문표> (웃음) 허허허
◇ 김현정> 왜 웃으십니까?
◆ 홍문표> 글쎄, 우리가 개인적으로도 살다 보면 실수는 한 번으로 끝나야지 두 번하면 안 되지 않습니까?
◇ 김현정> 아, 유승민 원내대표를 그렇게 내쫓은 건 이건 실수라고 보시는군요?
◆ 홍문표> 지금 여러 가지 정국이 어려운 한 부분이 또 그런 부분이 들어 있지 않습니까? 그래서 그때도 좀 더 지혜롭게 우리가 중지를 모아서, 유승민 의원도 그렇고 좀 더 우리가 한 발짝씩 참으면서 인내를 가지고 갔었더라면 하는, 그런 후회스러운 생각이 있지 않습니까?
◇ 김현정> 복당시켜야 된다고 보세요, 이분? 빨리?
◆ 홍문표> 당연히 복당해야 되겠죠. 본인이 들어온다고 하면 우리 당헌당규의 심사를 거쳐서 복당을 받게 돼 있습니다.
◇ 김현정> 전당대회 전이냐 후냐, 이 시기의 문제인데, 전에 해야 된다고 보십니까?
◆ 홍문표> 글쎄, 그것도 우리가 중진회의라든지 이런데서 우리가 논의해서...
◇ 김현정> 개인적으로는 어떻게 생각하세요, 개인적으로는?
◆ 홍문표> 들어온다고 하면 당헌당규에 따라서 심사를 해야 된다고 저는 봅니다, 하루라도 빨리.
◇ 김현정> 하루라도 빨리 심사해서 복당시키자. 여기까지 말씀 듣겠습니다. 오늘 중진연석회의 기대하면서 보겠습니다.
◆ 홍문표> 네, 감사합니다.
◇ 김현정> 고맙습니다. 새누리당 홍문표 사무총장 대행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