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명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를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은 CBS에 있습니다.
======================================================
■ 방송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FM 98.1 (07:3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남경필(경기지사), 정경효(양산시의회 의장)

<남경필 경기도지사>
- 국민 생명이 중요, 사드 배치 찬성
- 사드는 주권 문제
- 북핵과 운명 같이한다는 원칙 필요
- MD체제 편입 아님 분명히 해야
<정경효 양산시의장>
- TK 눈치보다 경남 유탄 맞아
- 원전지대로 위험한데 사드까지?
- 이미 군사지역 부적합해 철수한 곳
- 부울경 전체 저항에 직면할 것
사드 배치 결정의 후폭풍이 큽니다. 특히 후보지로 거론된 지역들은 연일 반발하고 있는데요. 정부가 사드 배치 장소를 결정해놓고 발표를 하지 않으면서 혼선은 더 커지는 분위기입니다. 후보지로 거론됐던 곳 중에 경기도 평택과 오산이 있는 곳입니다. 그래서 이분의 입장이 궁금해지는데요. 남경필 경기지사 연결을 해 보죠. 지사님 안녕하세요.
◆ 남경필> 안녕하십니까?
◇ 김현정> 일단 우리나라의 사드 배치를 결정한 그 자체에 대해서는 어떤 입장이십니까?
◆ 남경필> 저는 찬성합니다.
◇ 김현정> 필요하다는 입장요?
◆ 남경필> 그렇습니다.
◇ 김현정> 그런데 경기도 평택이나 오산에 설치하는 건 그럼 찬성을 하셔야 되는 거 아닌가요?
◆ 남경필> 그건 뭐 결정이 되면 거기에 따라 입장을 내놓겠습니다만 기본적으로 찬성합니다. 저는 국가가 결정을 하면 그 가운데 정말 국민과 제대로 소통을 해야 되고요. 왜 여기로 결정됐는지에 대한 정확한 이유, 설명이 뒤따라야겠죠.
◇ 김현정> 지역민들에게 왜 필요한가, 왜 이 지역인가에 대한 충분한 설득과 소통이 있다면 그것을 전제해서 받아들일 수 있다, 수용해야 한다 이런 말씀이세요.
◆ 남경필> 네.
◇ 김현정> 그렇게 판단하신 이유는 뭘까요?
◆ 남경필> 이게 우리 대한민국 국민들 생존을 위한 문제이기 때문에 대한민국에 필요하다면 대한민국 어딘가에 필요한 거 아니겠습니까?
◇ 김현정> 그렇죠.
◆ 남경필> 충분한 근거가 있는 결정을 정부가 하고 국민들께 제대로 설명을 한다면 그것은 어느 지역이든 받아들여야 한다고 봅니다.
◇ 김현정> 좀 뜻밖인데요. 지사님의 입장과 그런데 지역민들의 입장은 좀 다를 수 있을 것 같아요. 평택이나 오산 근처에 사시는 경기도민들, 반대하지 않겠습니까?
◆ 남경필> ‘만약에 이렇다면’을 가지고 얘기할 필요는 없고요..... 결정이 된다면 그때는... 아.. 좀 아쉬운 건 이런 겁니다. 이미 결정이 돼 있다는 얘기가 있는데요.
◇ 김현정> 맞아요.
◆ 남경필> 그거는 잘못됐다고 봅니다. 과정을 소상히 설명하면서 함께 결정을 해나가야지 그냥 딱 미리 결정해 놓은 것을 숨겨놓고 나중에 그냥 일방적으로 발표하는 식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보고요. 분명한 입장들에 대해서 설명을 하고 소통을 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 문제는 사실은 배치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주변국들과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이 과정을 소상히. 왜 그리고 앞으로의 원칙은 뭐다는 걸 소상히 설명을 해야. (물론) 반발이 있겠죠, 반발이 있겠지만 그러나 그 반발을 최소화 하는 것은 충분히 설명해서 우려를 불식시키고 또 왜 그럴 수밖에 없는지 납득을 하게 하는 거죠. 그것밖에 왕도가 없습니다.
◇ 김현정> 남경필 지사께서는 먼저 선정해놓은 절차 자체가 좀 말이 안 된다, 이 부분에 대해서 문제제기를 하시되,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에서 어떤 지역을 선정하면 필요한 이유가 납득이 된다면 받아들여야 한다, 이런 입장?
◆ 남경필> 꼭 거기에 따른 피해, 피해는 특히 이제 건강의 피해 또 재산상의 피해 이런 것들에 대해서는 분명히 대책 마련을 분명히 해야죠.
◇ 김현정> 보상과 대안이 마련된다는 전제 하에 수용해야 한다는 입장. 주변국과의 관계, 그 과정에서의 설득 이런 게 걱정된다고 하셨는데 정말로 그렇습니다. 지금 발표가 나자마자 러시아와 중국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심지어는 군사적인 대응얘기까지 나오고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세요.
◆ 남경필> 이 문제는 대한민국의 주권의 문제다. 어떤 무기를 도입하느냐는 우리 정부, 우리 국민들이 결정한다는 것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고요. 그러나 이게 북핵 때문에 비롯된 거죠.
◇ 김현정> 그렇죠.
◆ 남경필> 그리고 방어용이 돼야 하기 때문에 이것은 북핵과 함께 운명을 함께 한다. 북핵이 해결되면 없앤다. 그리고 세 번째 이게 미국의 MD 체제에 편입되는 것이 아니다. 앞으로 미래에도 그렇다는 이런 원칙을 분명히 세우고 이것을 설명하고 설득시키는 그러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 김현정> 하나라도 설치해서 나쁠 거야 없겠지만 지금 북한과 우리가 이렇게 단거리인 상황에서 사드가 과연 적절한 방어체계인가에 대한 의문이 계속 제기되고 있거든요. 그러다 보니까 주변국에서는 사드를 설치하면서 동시에 설치하는 그 엑스밴드 레이더라는 것을 통해 미국이 우리의 야구공 하나까지 들여다 보려고 하는 그 속셈이 숨어 있는 거 아니냐 이렇게 의심을 하고 있는 거 아니겠습니까?
◆ 남경필> 제일 중요한 게 뭔가요. 우리 국민들의 생명이죠. 그게 첫 번째고요. 그다음이 우리 주변국과의 관계입니다. 주변국과의 관계도 결국 우리 국민들 안전과 행복을 위해서 필요한 거죠. 그렇다면 우리가 우리 자체에 필요한 것은 도입을 하되, 주변국의 우려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불식을 시킬 수 있는 노력, 원칙, 이게 중요한 겁니다. 저는 중국이 지금 많이 반발하고 있지만 그 우려를 이해하지만 그 우려의 또 안에는 뭐냐면 이것 때문에 앞으로 대한민국이 미국의 MD체제로 들어가서 우리를, 진짜 말씀하신대로 이렇게 다 들여다 보는 거 아니냐 하는 우려인데, 그것이 아니다. 이것은 북핵을 위한 것이고 북핵이 사라지면 없앤다. 그리고 MD체제에 편입되지 않는다. 이런 것을 분명히 원칙을 제시를 해야 합니다.
◇ 김현정> 알겠습니다. 사실 이게 열강의 틈바구니 속에서 우리가 화약고 되는 거 아니냐, 이런 걱정들이 나오고 있어서요.
◆ 남경필> 그런데 이제 화약고는 북한이 핵을 개발하고 지금 미사일을 이렇게 시험하고 능력을 갖춰가고 있잖아요. 그거 이상의 화약고가 없는 거죠.
◇ 김현정> 우리의 어떤 군사 주권 면에서 필요한 조치라는 게 남경필 지사의 입장. 여기까지 오늘 말씀 듣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남경필> 감사합니다.
◇ 김현정> 경기도 남경필 지사의 입장 들었습니다. 평택이나 오산이 필요하다면 배치해도 좋다라는 입장. 사실은 반발 입장이 나올 줄 알았는데 조금 다른 입장이 나와서 저도 좀 당황스러운데요. 남경필 지사 먼저 만났습니다. 지금 경기지사 입장 들으셨는데요. 사실 저는 좀 놀랐습니다. 경기도는 배치가 결정되면 수용하겠다 이런 입장. 좀 뜻밖이죠. 그런데 사실 지금 수도권보다도 더 유력하게 거론되는 곳은 경상도입니다. 처음에는 칠곡 얘기가 나오더니 어제 갑자기 성주, 양산 이런 제3지대론이 강하게 대두되고 있습니다. 분위기가 어떨까요. 경남 양산 연결해 보죠. 어제 양산시에서 반대 기자회견이 열렸는데요. 양산시의회 정경효 의장 연결이 돼 있습니다. 정 의장님 나와 계세요?
◆ 정경효> 네, 안녕하십니까?
◇ 김현정> 양산 얘기가 나올 거라고 예상하셨어요?
◆ 정경효> 전혀 예상하지 못했습니다.
◇ 김현정> 전혀? 그러다가 갑자기 양산 얘기 듣고는 어떠셨습니까?
◆ 정경효> 너무 분노하고 경악스럽습니다.
◇ 김현정> 지금 지역민들 분위기가 그러니까 술렁술렁거리는 건가요?
◆ 정경효> 시민이 너무 놀래가지고 모두가 우리 관공서에 확인 전화를 하고 가만히 있느냐며 굉장히 분위기가 험악해가고 있습니다.
◇ 김현정> 분위기가 험악하고. 아니, 왜 갑자기 얘기도 없던 양산이 떠올랐다고 생각하세요?
◆ 정경효> 제가 봐서는 아마 신공항 문제 이후로 TK 눈치보기 때문에 양산으로 또 거론되지 않았나 생각하고 있습니다.
◇ 김현정> TK 대구, 경북 눈치보다가 결국 경남 양산으로 이거 온 거 아니냐.
◆ 정경효> 네. 양산시에 이런 사드 배치가 온다면 우리 31만 양산 시민들 가만히 있지 않을 겁니다.
◇ 김현정> 그런데 이제 국방부는 말합니다. “레이더가 인체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는 것 때문에 시민들이 지금 전자파를 걱정하는데, 안전거리는 100m기 때문에 사드 레이더는 기지 울타리로부터 최소한 500m 안쪽 위치에다가 설치를 할 거고 반경 3.6km 이내에는 아예 통제된 인원만 출입하도록 할 거다. 그러니까 지역주민들은 전자파 걱정 마시라” 이렇게 얘기하는데요.
◆ 정경효> 그보다 먼저 우리 양산시 인근에 고리원전이 있습니다. 국민의 생명을 위협하는 원전 시설, 국가 시설이 산재돼 있는 곳이구요. 특히 또 우리가 불교 성지입니다. 통도사가 있는 불교 성지고. 또 우리 문화재가 많이 양산에 많이 산재되어 있습니다. 천성산이라든지 해돋이, 해맞이라든지 거의 모든 우리 관광자원이 거기에 많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군사시설 사드가 배치된다면 우리 양산은 모든 것을 잃게 되는 것입니다.
◇ 김현정> 주민들 건강도 건강, 전자파도 전자파지만 그보다도 여기가 얼마나 중요한 유적지인데 여기에다가 그걸 군사시설을 설치하느냐 이 말씀이세요?
◆ 정경효> 그렇습니다. 그리고 또 원자력 발전소 인근에 있기 때문에 여기에 만약에 사드가 배치되면 집중 타깃이 되는 군사시설이 돼서 더 위험해지지 않을까 우려를 하고 있습니다.
◇ 김현정> 우려를 하고. 그러면 의장님 사드 배치하는 자체를 반대하세요? 아니면 우리 지역에다가 설치하는 것만 반대하시는 거예요?
◆ 정경효> 저희들은 사드가 오면 우리 국가에도 필요하다면 설치할 장소에 설치를 해야지.
◇ 김현정> 사드를 우리나라에 놓는 것 자체는 찬성하는데 우리 지역은 아니다?
◆ 정경효> 우리 지역은 아니다 하는 게 아니고, 배치해야 할 자리가 대구 경북 위로 가야 수도권 방어를 비롯해서 효과가 있는 거라고 저는 보고 있습니다. 북쪽으로.
◇ 김현정> 그 위로 가야지 맞는다. 그런데 배치 자체를 반대하는 게 아니라면 어딘가는 하기는 해야 하는데. 다 우리 지역만 안 된다 하면 너무 이거 지역이기주의 님비 아닌가.
◆ 정경효> 무조건 아니라면 그건 지역이기주의로 가는 게 맞는 건데, 저희들이 생각했을 때는 사드 배치가 지역이기주의보다도 입지가 정말 맞는 거냐. 우리 양산은 지난번에도 여기에 육군포대가 있었는데 필요 없어서 떠나간 거 아닙니까?
◇ 김현정> 그러니까 군사시설 놓기에 적당하지 않은 지역이다?
◆ 정경효> 네, 그러니까 이곳에 설치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되는 거 아닙니까.
◇ 김현정> 군사시설 설치하기 적당한 지역이 이리저리 봐도 어디로 봐도 아니다, 이 말씀을 계속 하시는 거군요.
◆ 정경효> 그렇습니다.
◇ 김현정>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약 양산으로 결정이 된다면 어떻게 대응 하실 생각이세요?
◆ 정경효> 32만 양산 시민과 부울경 800만 800만 시민들이 아마 전체가 일어나서 저희들 같은 경우에는 삭발을 하더라도 전체 우리 국민들, 우리 부울경 국민 800만 시민들과 같이 집단행동을 할 계획입니다.
◇ 김현정> 칠곡에서는 지금 서울에 상경집회도 계획하고 계시다고 하던데 그런 생각까지도 하시고 계시는 거예요?
◆ 정경효> 네, 당연하죠.
◇ 김현정> 당연히, 알겠습니다. 여기까지 말씀 듣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정경효> 수고하십시오.
◇ 김현정> 양산, 갑자기 제3지대론이 떠오르면서 사드 배치의 유력한 지역으로 떠오르고 있는 경남 양산시의 정경효 시의장 연결해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