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명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를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은 CBS에 있습니다.
======================================================
■ 방송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FM 98.1 (07:3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김영우(바른정당 최고위원)

- 안보위기 상황, 보수통합해야
- 보수, 막말 헐뜯기 경쟁 할 건가?
- 친박8적 청산 등 통합조건 아냐
- 바른정당 통합파 의원 10명 정도
새로운 보수, 건강한 보수를 기치로 내걸고 출범했던 바른정당. 바른정당이 오늘 상당히 중요한 기로에 섰습니다. 엊그제 바른정당의 일부 의원들이 자유한국당과의 통합을 추진하는 통합추진위원회 설치에 합의를 했습니다. 그러니까 이제부터는 공식적으로 통합을 논의하겠다는 거죠. 바른정당 잠시 후에 의원총회 엽니다. 잠시 후에 엽니다. 이 의원총회에서 통합이냐 자강이냐? 이것을 놓고 격론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저희가 자강파 쪽 이야기는 더러 들었습니다만 오늘은 통합파 쪽. 그러니까 합당을 해야 된다는 쪽의 이야기를 좀 들어보죠. 김영우 최고위원 연결이 돼 있습니다. 김영우 최고위원님 안녕하세요.
◆ 김영우> 네, 안녕하십니까?
◇ 김현정> 의원총회.. 오늘 주제가 아예 본격적으로, 전격적으로 통합이냐 아니냐, 이 얘기입니까?
◆ 김영우> 그렇죠. 이게 시작된 것은 사실 엊그저께 자유한국당 3선 의원들하고 바른정당 3선 의원 몇 명이 모이지 않았습니까?
◇ 김현정> 그랬죠.
◆ 김영우> 제가 바른정당 3선 의원은 제가 어레인지를 했죠. 이것이 된 것은 사실 지금 대한민국 안보가 위기고 이런 상황에서 또 문재인 정부는 포퓰리즘 독재 또 무슨 적폐청산이라 해서 적폐청산의 광풍을 불러일으키고 있는데 이런 상황에서 보수 야당이 그러니까 바른정당과 한국당이 서로 계속해서 막말 경쟁이나 하고 있고 이렇게 해서는 안 되겠다. 보수가 좀 뭉쳐야 되는 거 아니냐. 그리고 두 당뿐만 아니라 외부 보수 세력도 모두 포함해서 대통합을 논의해 보는 게 어떻겠냐라는 게 전부죠. 그러니까 논의를 해 보자는 겁니다.
◇ 김현정> 보수가 어찌 됐든 안보에 있어서는 자유한국당, 바른정당 뜻이 딱 통하는데.
◆ 김영우> 공감이 되죠.
◇ 김현정> 이때가 때다. 우리 합쳐서 뭔가를 해야 되지 않겠느냐, 이런 공감을 이뤘다는 말씀?
◆ 김영우> 그렇죠.
◇ 김현정> 그런데 아시겠지만 지금 당내에는 합당을 반대하는 분들이 많이 계세요. 그분들 얘기를 들어보면 우리가 과거 새누리당에서 나올 때 왜 나왔는지 생각해 봐라. 친박 청산도 지금 제대로 안 돼 있고 박근혜 전 대통령과의 관계 정리도 안 돼 있고 당이 혁신이 안 된 게 보이는데 도대체 어떤 명분으로 다시 자유한국당과 합친다는 이야기냐? 이렇게 말씀하시는데요.
◆ 김영우> 지금 우리가 생각해야 될 거는 그거입니다. 우리가 개혁보수를 하려고 나왔죠. 그리고 그때는 최순실 사건이 있었고 헌법이나 법에 대한 훼손, 이 문제 때문에 우리가 나왔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나온 것은 근본적으로는 친박의 잘못된 정치 행태라든지 이런 잘못된 정치 행태는 이건 아니다 해서 나온 건데 그 이후에 우리가 정권을 넘겨주지 않았습니까? 뺏겼죠. 그것은 보수 전체의 잘못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고 나서 지금 우리가 생각해야 되는 것은 우리가 개혁보수의 길을 제대로 걸어가고 있는지. 또 이런 안보 상황에서 보수 야당끼리 분열해가지고 계속 이렇게 서로 막말 경쟁하고 헐뜯기 경쟁하고. 또 상대 당은 소멸돼야 될 정당이라고 이렇게 못 박으면서 우리 스스로 보수 엘리트주의에 빠져서 그냥 갈 길 가보자, 내년 지방선거도 다가오는데 말이죠. 이건 아니라고 봅니다. 그리고 자강... 좋다 이거예요. 그런데 지난 8개월 동안 자강이 사실 제대로는 안 됐어요. 지난번에 유승민 대통령 후보가 얻었던 6.8% 지지율 그게 거의 최고였습니다. 그 이후에 계속 5%, 4% 이런 상황이라면 왜 자강이 안 되고 있는지 우리 자기성찰이 먼저인데 이거 오히려 상대 다른 보수 야당 공격하기에만 급급해서 이렇게 가는 건 저는 개혁보수라는 생각은 안 들어요.
◇ 김현정> 자강이 제대로 됐으면 이러지 않을 텐데 자강이 흐지부지한 상태에서 계속 이렇게 지방선거까지 가는 게 과연 보수를 위해 옳은 길이냐, 이런 회의가 든다는 말씀?
◆ 김영우> 그렇습니다. 자강은 좋지만 자강에 대한 방법론에 대해서는 거의 토론이 없었습니다.
◇ 김현정> 그런데 지금 자강을... 그러니까 자강이 안 됐다라고 얘기하기에는 조금 더 기다려봐야 되는 거 아닌가요? 너무 성급하게 안 되니까 합당하자, 이거 조금 너무 빠른 결정 같은데요.
◆ 김영우> 그냥 기다리면 누가 자강을 해 주죠? 어떻게 보수가 자강이 되는 거죠? 저는 우리 스스로 보수가 통합이 좀 되고 문재인 정부에 대해서 제대로 된 견제를 해야 될 거 아닙니까? 지금 우리가 안보가 위기라는 말은 다 같이 하면서 따로따로 얘기하는 거 아닙니까?
◇ 김현정>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이?
◆ 김영우> 이것은 개혁보수라는 생각이 안 들고. 그리고 너무 지금 이상적이고 막연한 시간 보내기만 하고 있다, 이런 생각이 들어요.
◇ 김현정> 시간 보내기? 대표적인 자강론자 하태경 최고위원은 이런 말씀 하셨더라고요. 통합추진위라는 그 위원회, 지도부하고 전혀 상의도 하지 않은 채 그냥 몇몇 개인들이 일탈행위 한 거다. 바른정당의 창당정신을 훼손하는 해당행위자다. 김영우 의원이 해당행위자가 되신 거예요. 답 주시죠.
◆ 김영우> 그러니까 제가 참 우스운 게 다른 당 3선 의원하고 만나서 보수를 논의를 하고 보수 대통합이 필요하지 않겠냐, 이런 거 각 당에 돌아가서 한번 의견 좀 전달해 보자라고 하는 것이 일탈행위라면. 글쎄요. 정치를 어떻게 앞으로 해야 될지 제가 참 아리송합니다만 하태경 의원 같은 경우에는 사실 국민의 당하고의 무슨 2단계 단계적 연대론인가, 이런 걸 계속 또 추진해 왔어요. 그게 또 당의 입장이라고까지 얘기를 했는데. 저도 그거 사실 처음 듣는 얘기입니다. 그렇다면 이것을 또 일탈행위라고 제가 얘기를 해야 될지 모르겠습니다만.
◇ 김현정> 우리가 일탈이라면 그쪽 그런 논의도 일탈이 되는 거다?
◆ 김영우> 저는 그래서 이렇게 상대방이 고민하고 또 어떻게 하면 보수 전체가 좀 잘 되고 이런 거에 대해서 고민하는 것 자체가 일탈행위라면 정치 자체가 지금 일탈행위인 거죠.
◇ 김현정> 알겠습니다. 김영우 의원님.
◆ 김영우> 이해를 할 수 없어요. 오히려 같이 정치하는 사람들끼리 서로 독설을 뿜고 무슨 내부의 적이다, 무슨 등등 이렇게 하는 것이 그것이 더 큰 일탈 행위 아닐까요?
◇ 김현정> 김영우 의원님, 그런데 사실 정치라는 게 명분이 중요하고 소신 지키는 게 중요하고 철학이라는 게 상당히 중요한데 지금 친박 8적이라고 그때 찍었던 그분들 거의 그대로 계시고. 박근혜 전 대통령도 당하고 관계 정리 안 되고. 이 상황에서 과연 명분이 안보위기 하나만 가지고 되는 것이냐. 혹시 지방선거 앞두고 어떤 정치적인 목적. 아까 청취자 배재규라는 분은 쉬운 말로 춥고 배고파서 들어가시려고 그러는 거 아니냐, 이런 문자들 오거든요. 어떻게 생각하세요?
◆ 김영우> 지방선거를 생각하지 않는 정당은 있을 수가 없습니다. 선거에 계속 져가면서 당을 이끌 수는 없죠. 내년 지방선거를 준비하는 지역에 많은 후보들이 있습니다. 이 후보들을 그냥 내팽개쳐서는 안 되고요. 그리고 자유한국당의 소위 뭐 8적이다, 5적이다. 또 박근혜 전 대통령의 출당 문제, 이것은 자유한국당이 개혁의 마인드를 가지고 해결해야 되고요. 그리고 박근혜 전 대통령은 사실 스스로 탈당하는 것이 가장 옳겠죠.
◇ 김현정> 그러면 혹시 그것을 통합의 조건으로 거십니까? 아니면 조건 아닙니까?
◆ 김영우> 저는 그 무슨 8적이다, 5적이다, 2적이다 이런... 제 스스로는 걸고 있지는 않아요.
◇ 김현정> 조건 안 거십니까?
◆ 김영우> 다만 자유한국당은 개혁을 위해서 개혁의 잣대는 자기 자신에 있어야 됩니다. 우리도 마찬가지예요. 자유한국당에서 봤을 때는 바른정당도 고쳐야 될 점이 많을 거예요. 또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도 있겠죠.
◇ 김현정> 그렇겠죠.
◆ 김영우> 하지만 상대방에 대해서 그런 것을 조건을 들기 시작하면 이거 한도 끝도 없을 겁니다. 저는 바른정당은 우리 스스로를 돌아봐야 된다, 왜 자강이 안 됐는지. 이런 걸 우리 스스로를 우리 스스로 비쳐봐야지. 계속해서 남 탓하고 그다음에 우리가 보수의 순혈주의에 빠지는 것은 그것은 선민의식도 아니고 말이죠. 그렇게 가서는 안 된다고 봐요.
◇ 김현정> 알겠습니다. 그러니까 전제조건을 걸고 하면 이건 끝도 없다. 계속 갈 테니까 일단은 합치자. 합치는 게 맞다.
◆ 김영우> 개혁은, 개혁은 알아서 하는 겁니다. 자기 자신이 알아서 해야 되는 거고.
◇ 김현정> 지금 느낌을 보니까, 김영우 의원님.
◆ 김영우> 네.
◇ 김현정> 당대당 합당은 사실 분위기상 어려워 보이고 개별 의원들 탈당으로 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보세요?
◆ 김영우> 추진해야죠. 저는 개별적인 탈당을 이야기해 본 적도 없고요. 보수라고 하는 큰 틀에서 통합을 추진해 보자. 그리고 우리 두 당뿐만 아니라 외부에 있는 보수 세력도 뭉치는 것이 어떠냐, 이런 큰 틀에서의 얘기가 있었지 좀 이렇게 자세한 절차상의 문제를 아직 논의해 본 적은 없죠.
◇ 김현정> 의원이 20명 계시잖아요, 바른정당에.
◆ 김영우> 그렇죠.
◇ 김현정> 그 20명 중에 그러면 합당해버리자. 우리 자유한국당과 함께해야 된다라고 하는 의원이 몇 명쯤 되세요?
◆ 김영우> 저는 제가 계산해 본 적은 없습니다.
◇ 김현정> 대충 의견을 물어보셨을 거 아니에요, 지금 이런 중요한 얘기를 하는데.
◆ 김영우> 글쎄, 제가 알기에는 한 반 정도는 되지 않겠나 보고 있지만.
◇ 김현정> 10명? 그럼 10 대 10이면 사실 10 대 10으로 팽팽한 상황이면 당대 당 통합은 어렵지 않습니까?
◆ 김영우> 우리가 제가 말씀드렸지 않습니까? 지금 바른정당, 자유한국당뿐만 아니라 보수가 뭉쳐야 된다라고 하는 큰 틀의 얘기라고 제가 이제 말씀을 드렸는데 아까도 말씀드렸습니다만 우리가 계속 자강론만 주장할 것이 아니라 우리가 보수가 어떻게 자강이 되고 보수가 어떻게 뭉쳐야 되는지 고민을 안 하는 게 더 이상한 거 아닌가요, 이런 상황에서?
◇ 김현정> 아니, 그러니까 그 말씀을 드리는 것이 아니라 당대당 통합이 과연 이렇게 당내의 의견이 팽팽한 상태에서 될 것인가?
◆ 김영우> 논의를 해 보자는 겁니다.
◇ 김현정> 열 분 정도가 따로 나가서 자유한국당으로 들어가는 방식이 되지 않는가, 이런 생각이 좀 들어서요.
◆ 김영우> 제가 논의를 한번 해 보자는 얘기니까.
◇ 김현정> 알겠습니다.
◆ 김영우> 이제 시작이니까요.
◇ 김현정> 8시 반부터 바른정당 의원총회 열린답니다, 여러분.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 주목을 해 주시죠. 김영우 최고위원님 고맙습니다.
◆ 김영우> 네, 고맙습니다.
◇ 김현정> 바른정당 김영우 최고위원님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