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명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를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은 CBS에 있습니다.
======================================================
■ 방송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FM 98.1 (07:3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안영자 (북한요리연구가)

- 북한은 원재료 중심, 남한은 양념 맛 중심
- 남한서 단 걸 좋아하는 건 스트레스 때문인 듯
- 두부밥, 인조고기밥 등 북한 거리음식도 맛나
- 북한가면 고소하면서 값도싼 장어요리 드셔보세요
남북 정상회담을 빛낸 주인공 가운데 하나를 꼽자면 평양냉면도 빼놓을 수가 없습니다. 지금 우리나라 평양냉면 식당들이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다 그러죠. 평화 무드가 조성이 되면서 북한에 대한 관심이 음식부터 시작이 된 건데요. 어디 맛있는 북한 음식이 평양냉면뿐이겠습니까? 오늘 화제의 인터뷰에서는 북한의 맛을 한번 찾아가 보겠습니다. 북한 요리 전문가세요. 안영자 씨 연결을 해 보죠. 안 선생님, 안녕하세요?
◆ 안영자> 안녕하세요.
◇ 김현정> 북한에서 우리 남한 땅으로 오신 지는 얼마나 되셨어요?
◆ 안영자> 한 10년이 넘었어요.
◇ 김현정> 10년 넘으셨어요. 북한에서부터 음식을 연구하시는 분인데 북한 요리하고 남한 요리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면 뭐라고 생각하세요?
◆ 안영자> 제가 여기 와서 느낀 건 뭐냐하면 북한은 재료의 맛을 많이 먹어요.
◇ 김현정> 재료 그 자체의 맛을 살려서 요리를 한다?
◆ 안영자> 네. 재료 그 자체의 맛을 살려서 먹어요.
◇ 김현정> 그런데 남한은?
◆ 안영자> 남한은 양념을 많이 넣고, 양념 맛으로 먹는 것 같아요. (웃음)
◇ 김현정> 그래요? 우리는 양념을 많이 쓰기는 써요, 사실.
◆ 안영자> 예를들어 우리가 평양냉면이라 하면 그 감칠맛을 살려야 되는데 여기는 동치미를 넣는 걸 아주 좀 더 (중요시)하더라고요. 그래서 그 감칠맛 이란건 동치미에서도 그 육수 맛이 같이 우러나야 되는데, 그래서 (북측) 평양냉면하고 달라요.
◇ 김현정> 남한의 음식은 양념을 많이 쓰는, 마늘도 많이 다져놓고 젓갈도 많이 넣고? 그러면 입맛 차이라는 것도 분명히 있겠네요, 북한 분들하고.
◆ 안영자> 그렇죠. 입맛 차이라는 게 제가 여기 와보니까 여기는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스트레스를 막 받잖아요. 그래서인지 내가 그거 보니까 여기는 단 걸 좋아하는 원인이 있구나. 우리가 많이 스트레스 받을 때 단거를 요구하잖아요. 이래서 이 사람은 단맛을 좋아하시는구나 했어요. (웃음)
◇ 김현정> 우리가 스트레스를 우리도 모르게 많이 받고 있으니까 단맛을 좋아하는 거 아닐까? 그럴 듯한데요. 알겠습니다. (웃음) 그러면 북한 음식 베스트로 넘어가 보죠. 우리가 사실 지금 아는 북한 음식이라는 게 뭐 그렇게 없어요. 저 개인적으로 볼 때는 평양냉면, 가자미식해 이 정도 알겠는데 북한 사람들이 집에서 가장 잘해 먹는 음식 하나, 베스트 원을 꼽는다면?
◆ 안영자> 우리가 장사기라는 게 있어요. 우리가 찌개 해 먹는 것처럼.
◇ 김현정> 장사기?
◆ 안영자> 장사기. 곱돌 장사기. (*장사기란, 곱돌이나 오지 따위로 만든, 장을 지지는 그릇의 하나.) 주로 '감자장'도 해 먹고 호박장도 해 먹고 추어탕 이렇게 여러 가지 김치찌개도 해 먹고 똑같아요, 여기하고.
◇ 김현정> 우리는 된장찌개 같은 거 먹을 때 뚝배기라고하죠. 뚝배기.
◆ 안영자> 뚝배기, 뚝배기. 우리 북한은 그걸 장사기라고 해요, 장사기.
◇ 김현정> 그러니까 남한의 뚝배기가 북한의 장사기? 생긴 것도 그렇게 똑같이 생겼어요?
◆ 안영자> 똑같아요.
◇ 김현정> 장사기를 놓지 않는 밥상은 밥상이 아니다? 무조건 하나씩 올라가요?
◆ 안영자> 그렇죠. 항상 가운데다 우리가 장사기를 하나씩 놓죠.
◇ 김현정> 그럼 귀한 사람이 오면 내놓는 음식. 이거는 좀 특이하다 하는 거 뭐 있습니까?
◆ 안영자> 저희는 함북도니까 토끼 요리도 내놓고 닭고기 요리도 내놓고 다 내놔요, 귀한 손님이 오면.
◇ 김현정> 토끼 요리? 토끼 요리를 집에서 해서 내놓아요?
◆ 안영자> 네, 거기는 토끼를 많이 집에서 키워요.
◇ 김현정> 토끼를 집에서? 우리 같으면 집에서 농촌에서 닭을 많이 키우는데 어떻게 거기는 토끼를 많이 키운대요?
◆ 안영자> 거기는 토끼는 풀을 먹잖아요. 학교마다 학생들마다 토끼 가죽을 학교에다 바쳐요.
◇ 김현정> 토끼 가죽을 갖다바친다고요, 학교에?
◆ 안영자> 집집마다 토끼를 많이 키워요. 토끼는 풀만 먹으면 되잖아요.
◇ 김현정> 토끼 요리는 어떻게 먹어요?
◆ 안영자> 토끼 여러 가지 조림도 해 먹고 탕도 해 먹고 여러 가지죠.
◇ 김현정> 똑같이. 재미있네요. 그러면 거리 음식으로 한번 가보겠습니다. 남한의 거리 음식 하면 떡볶이, 어묵, 순대 이런 게 유명한데 북한은?
◆ 안영자> 북한도 그래요. 순대도 해 먹고 두부밥도 하고 인조고기밥도 하고.
◇ 김현정> 무슨 밥이요? 두부밥이 뭐예요?
◆ 안영자> 두부밥. 두부밥이 여기 유부초밥처럼 비슷한 거예요. 유부대신 두부.
◇ 김현정> 두부밥을 거리에서? 인조고기밥은 뭐예요?
◆ 안영자> 인조 고기라는게, 우리가 콩을 기름을 짜고 나머지를 쭉 반죽해서 고기처럼 쭉 나와요. 우리 어묵 처럼 나와요. 어묵처럼 생겼어요.
◇ 김현정> 우리나라의 채식주의자들이 고기 대용으로 콩으로 햄 비슷하게 만들어서 먹거든요. 그런 걸 인조, 가짜. 인조고기?
◆ 안영자> 네. 가짜라해서, 인조고기라 하죠. (웃음)
◇ 김현정> 아, 그렇군요. 그러면 남한에 넘어 10년 전에 넘어오셔서 남한 음식 봤을 때 이게 제일 신기하다 하는 거, 북한에 없는 거 뭐 신기하셨어요?
◆ 안영자> 여기 신기한 게... 그 바다 생선 있잖아요. 회를 떠먹는 것.
◇ 김현정> 거기도 바다가 있고 또 동해에서는 생선 많이 잡힐 텐데요?
◆ 안영자> 직접 바닷가에서 고기 잡는 사람들이 해 먹지, 우리 육지 사람들은 오는 속도가, 생선이 또 변하잖아요.
◇ 김현정> 오다가 상하니까요.
◆ 안영자> 상하니까 못해 먹죠.
◇ 김현정> 회 잘 드세요? 지금은 좋아하세요?
◆ 안영자> 네. (웃음)
◇ 김현정> 북한에도 떡볶이 있습니까?
◆ 안영자>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처럼 이렇게 고추장에 요란하게는 안 해요. 거기는 간장으로 다 볶아서.
◇ 김현정> 궁중식이군요, 거기는?
◆ 안영자> 네. 궁중식이에요.
◇ 김현정> 재미있네요, 북한 음식. 이제 통일이 되고 평화체제가 완성이 되면 남북교류가 좀 자유로워지면 제가 북한 가서 먹어볼 음식 하나만 좀 추천해 주신다면 이거 먹어봐라.
◆ 안영자> 장어요리를 드셔보세요.
◇ 김현정> 장어?
◆ 안영자> 네. 아주 고소하고 자연입맛처럼 고소하고 아주 이렇게 단맛도 나고 이래요.
◇ 김현정> 저 장어 좋아하는데 북한 가서 장어 한번 꼭 먹어봐야겠네요.
◆ 안영자> 장어비빔밥도.
◇ 김현정> 비싸지 않아요? 남한에서는 비싼데 장어요리가.
◆ 안영자> 아뇨, 거기는 비싸지 않아요.
◇ 김현정> 아, 그럼 결정했습니다. 저는 그러면 북한 가면 장어요리부터 먹어볼게요.
◆ 안영자> 그렇게 하세요. (웃음)
◇ 김현정> 벌써 아침부터 군침이 도네요. (웃음) 얼른 우리가 왕래가 좀 자유로워서 북한분들도 한국 와서...
◆ 안영자> 마음대로 여기 와서 맛있는 거 먹으면 얼마나 좋겠어요.
◇ 김현정> 저도 가서 장어 요리, 두부밥 마음껏 먹는 날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선생님, 오늘 귀한 시간 내주셔서 감사드리고요. 맛 통일, 북한과 남한의 음식통일을 위해서 힘써주십시오.
◆ 안영자> 네, 고맙습니다.
◇ 김현정> 고맙습니다. 북한 요리 전문가세요. 탈북자 출신입니다. 안영자 씨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