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터뷰를 인용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를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은 CBS에 있습니다.
======================================================
■ 방송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FM 98.1 (07:3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이택수(리얼미터 대표)

한 주간의 최신 여론 조사를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이택수의 여론. 오늘도 리얼미터의 이택수 대표 나오셨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 이택수> 안녕하세요.
◇ 김현정> 결국은 왔네요, 그날이.
◆ 이택수> 네, 왔습니다. 올 게 왔습니다.
◇ 김현정> 올 게 왔습니다. 우리가 지난번 시간에도 참 빛의 속도로 빠르다 이랬는데 마지막 날이 온 겁니다, 여러분. 싱숭생숭하시죠, 이 대표님도?
◆ 이택수> 그렇죠. 아쉬운 마음이 50% 이상 되는 거 같고 기대 또한 50% 좀 못 미치지만 기대도 있습니다.
◇ 김현정> 꽤 기대도 하시네요. 오늘 우리가 여론으로 조사한 게 올해의 말인데 우선 올해의 말 하기 전에 교수신문에서 매년 올해 사자성어 뽑잖아요. 올해는 뭐가 뽑혔어요?
◆ 이택수> 임중도원.
◇ 김현정> 왜 교수신문의 사자성어는 늘 어려워요?
◆ 이택수> 그래야 교수죠.
◇ 김현정> 교수니까. 교수니까 어렵다? 무슨 뜻입니까? 임중도원.
◆ 이택수> 책임은 무겁고 갈 길은 멀다. 이런 뜻인 것 같아요. 짐은 무겁고 갈 길은 멀다. 문재인 정부.
◇ 김현정> 임이 그러니까 임무 할 때 그 임무. 일은 무겁고 도, 길 도. 갈 길은 멀다.
◆ 이택수> 문재는 정부가 추진 중인 한반도 평화 구상과 각종 국내 정책이 뜻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난제가 많이 남아 있는데 굳센 의지로 잘 해결해 나가길 바라는 마음이라고 교수신문은 전했습니다.
◇ 김현정> 그래요, 그래요. 이택수 대표는 올해 사자성어를 뭐 꼽으실지 되게 궁금한데 이 얘기는 우리 조금 이따가 댓꿀쇼에서 조금 풀어나가보도록 해 볼까요?
일단 올해의 말. 여러분들이 뽑아주신 올해의 말부터 우리가 좀 살펴봐야겠습니다. 너무 좋아서 기억이 나는 말도 있을 거고 너무 싫어서 기억이 날 수도 있을 거고 재미있다, 재미있는 유행어라서 또 기억이 나는 것도 있을 거고 다양할 텐데. 저는, 저는 인싸라는 말 있었잖아요, 신조어.
◆ 이택수> 인싸요?
◇ 김현정> 인싸, 아싸 모르세요?
◆ 이택수> 잘 모르겠는데요. 저도 이제 5학년이다 보니까 좀 느립니다, 트렌드 쫓아가는 게.
◇ 김현정> 인사이드, 아웃사이드. 그런 뜻인데요. 정말 많이 쓰는 단어였어요, 올 한 해에. 인싸, 아싸. 이게 그냥 많이 써서 올해의 말로 뽑고 싶은 건 아닌데 인싸가 되고 싶어하는 그 인간의 심리. 왜 요즘 젊은이들은 다 인싸를 꿈꾸는가? 인싸가 되고 싶어서 저거를 사야 되고 저 행동을 해야 되고 이게 어떻게 보면 굉장히 씁쓸하면서도도.
◆ 이택수> 그러니까 왕따 안 당하기 위해서?
◇ 김현정> 그렇죠. 엄마, 이거 사야지 인싸 돼요. 아니면 나 아싸 돼요. 이런 말을 너무 많이 쓰거든요. 이게 굉장히 씁쓸하면서도 요즘에 이 각박한 상황, 이 경쟁 상황을 반영하는 말이 아닌가 싶어서 올해의 말로 꼽고 싶은데 일단 인싸, 아싸는 올해의 말 후보에는 안 들어갔네요?
◆ 이택수> 그렇죠.
◇ 김현정> 뉴스쇼가 리얼미터에 의뢰해서 조사를 해 봤습니다. 후보부터 소개해 주세요.
◆ 이택수> 저희가 지난 28일 금요일날 조사했고요. 전국 19세 이상 성인 8265명에게 접촉을 해서 최종 503명이 응답을 완료했습니다. 6.1%의 응답률, 무선 전화 및 유무선 자동 응답 혼용이었고요. 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4.4%포인트였고 질문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다음은 우리 국민들을 웃기고 울린 올해의 말 후보입니다. 이들 중에서 현재 선생님의 뇌리에 가장 뚜렷이 남아 있는 것은 하나만 선택해 주십시오..
◇ 김현정> 뚜렷이 남아 있는 말 하나를 선택해 주십시오. 1번.
◆ 이택수> 저희가 가나다순으로 말씀은 드리지만 랜덤하게 불러드렸습니다.
◇ 김현정> 부르는 순서는 계속 바뀌었어요.
◆ 이택수> 1번, 고 노회찬 의원의 누구를 원망하랴. 2번, 북한 김정은 위원장의 멀다고 하면 안 되갔구나. 3번,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외침을 한 거죠. 내가 김용균이다. 4번, 안희정 전 지사의 괘념치 말아라. 5번, 위디스크 양진호 회장의 고개 들어. 울어? 이런 좀 슬픈 소식. 6번, 정태옥 전 한국당 대변인의 이부망천.
◇ 김현정> 이건 지방선거 앞두고 판을 흔들었죠. 이부망천.
◆ 이택수> 7번, 청와대. 미꾸라지 한 마리가. 김태우 전 수사관 얘기죠. 8번, 컬링 대표팀 팀킴의 영미. 9번, 홍준표 전 대표의 귤 상자 속에 귤만 있겠나. 10번은 방탄소년단의 러브 유어셀프.
◇ 김현정> 너 자신을 사랑해라. 이거 UN 연설에서 한 거죠? 러브 유어셀프.
◆ 이택수> 11번, 기타. 12번, 잘 모르겠다였습니다.
◇ 김현정> 이거 조사 결과 어떻게 나왔을지 굉장히 궁금한데. 1위. 1위부터 하지 말고 3위부터 하죠. 3위.
◆ 이택수> 고 노회찬 의원의 누구를 원망하랴. 11.9% 나왔습니다.
◇ 김현정> 고 노회찬 의원이 생각난다라는 문자가 아까 청취자 문자로도 꽤 많이 왔어요. 올해의 인물로 역시 노회찬 의원의 말. 누구를 원망하랴 3위. 2위.
◆ 이택수> 박빙으로 2, 3위가 갈렸는데요. 12.4%를 기록한 홍준표 전 대표의 귤 상자 속에 귤만 있겠나.
◇ 김현정> 귤 우리가 보냈을 때, 북한으로. 그때 했던 그 말인데 이게 2위로 뽑혔어요? 부정의 의미인지 긍정의 의미인지 모르겠습니다. 아니면 두 쪽에서 다 뽑았을지도 모르겠고. 어쨌든 2위. 1위.
◆ 이택수> 컬링 대표팀 팀킴의 영미가 18.5%로.
◇ 김현정> 올해의 말. 영미가 됐어요.
◆ 이택수> 제가 가끔 골프를 치는데 골프 칠 때도 공이 멀리 나가길 바라는 분들이 영미를 외칩니다.
◇ 김현정> 진짜요? 재미있다.
◆ 이택수> 그리고 상대방이 잘 못 치기를 바랄 때는 퍼팅이 좀 길어지기를 바랄 때는 영미 해서 계속 나가기를. 홀컵을 지나서 계속 나가기를 바랄 때 영미라고 외칩니다.
◇ 김현정> 그런데 이 영미가 영미가 아닌 다른 이름이었으면 저는 이렇게까지 유행 안 했을 것 같아요. 영미는 너무 흔하고 내 주변에 누구나 하나쯤은 있을 법한 이름, 굉장히 친숙한 이름이기 때문에 더 사랑스러웠고 감정 이입이 더 되고 그랬던 것 같아요.
◆ 이택수> 그렇죠.
◇ 김현정> 맞아요. 그리고 희망의 이름이고. 맞습니다, 영미.
◆ 이택수> 4위는 미꾸라지 한 마리가. 그리고 5위는 멀다고 하면 안 되갔구나. 6위는 내가 김용균이다. 7위는 괘념치 말거라. 그리고 8위는 생각보다 좀 적게 나왔습니다. 방탄소년단의 러브 유어셀프. 그다음에 9위는 이부망천. 10위는 고개 들어, 울어? 이거로 나타났습니다.
◇ 김현정> 우리 지난주에는 올해의 장면 뽑았잖아요. 2018년 올해의 장면 뭐라고 생각하십니까? 거기서는 이제 도보다리 정상 회담. 남북 정상 회담이 꼽혔는데 지금 김정은 위원장 멀다고 하면 안 되갔구나가 몇 위 했다고요?
◆ 이택수> 5위로 나타났는데요. 영미 같은 경우는 다수 계층에서 1위로 나타났고 홍준표 전 대표의 귤 상자 속에 귤만 있겠나. 이거는 역시 보수층과 한국당 지지층에서. 노회찬 전 의원의 누굴 원망하랴는 또 진보층, 정의당 지지층에서 많았고 김정은 위원장의 멀다고 하면 안 되갔구나. 이거는 충청 민주당 지지층에서 많았고요. 또 청와대 김의겸 대변인이 했던 얘기. 미꾸라지 한 마리가. 이건 60대 이상. 이건 예상보다 보수층에서 응답을 많이 했습니다.
◇ 김현정> 친서도 오고 있으니까 김정은 위원장, 우리 남북 정상 회담 떠올리면서 그 워딩 한번 오리지널로 들어볼 수 있을까요, 원본으로. 잠깐 준비됐습니까?
◆ 김정은> 오늘 저녁에 만찬 음식 가지고 많이 이야기하는데 어렵사리 평양에서부터 평양 냉면을 가지고 왔습니다. 가져왔는데 대통령님께서 좀 편한 마음으로 평양 냉면 멀리 온... 멀다고 말하면 안 되갔구나.
◆ 이택수> 멀다고 말하면 안 되갔구나.
◇ 김현정> 대단한 유행어였고 위트가 있었어요.
◆ 이택수> 그렇죠.
◇ 김현정> 이거를 많이들 뽑아주셨네요. 남북 정상 회담은 연내 답방은 무산됐습니다만 친서도 오고 이러면서 다시 한 번 우리가 그때를 떠올려 봤고요. 재미있네요. BTS는 사실 폭발적인 인기였는데 비해서는 8위, 아까. 8위라고 하셨어요?
◆ 이택수> 아마 빌보드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한 직후에 조사를 했다면 좀 달라졌겠죠. 그런데 워낙 그사이에 또 다른 일들이 많았기 때문에 조금은 그 시기적으로 상위권을 차지하기는 어려웠는데 한 6%가량 나타났습니다. 러브 유어셀프. 아까 말씀하셨지만 UN 연설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내주세요. 조금씩 자신을 사랑하는 방법을 배워나갑시다. 요즘 헬조선이다. 이런 표현으로 많은 젊은이들이 지금 낙심해 있는데 우리 청소년들뿐만 아니라 세계에 있는 모든 분들한테 했던 얘기기 때문에 적지 않은 분들. 8위로 나타난 것 같습니다.
◇ 김현정> 영미 그다음에 멀다고 하면 안 되닸구나 또 러브 유어셀프, 3개 정도 빼고는 다 좀 어둡고 부적적이고 이런 말들이에요.
◆ 이택수> 가슴 아픈 얘기들이 많죠.
◇ 김현정> 올 한 해 정리하는 데 조금 여러분에게는 만만치 않은 한 해였구나. 저는 이런 생각이 들었는데요. 청취자 여러분들, 올해의 말 뭐 뽑고 싶으세요? 이 후보에 나와있는 것들 외에도 여러분들이 생각하신 여러분의 말 지금부터 보내 주십시오. 저희가 댓꿀쇼에 여러분의 그 댓글들을 가지고 한번 진행해 보도록 하죠. 정례 조사로 넘어가겠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의 마지막, 올해 마지막 국정 지지율 어떻게 나왔습니까?
◆ 이택수> 문재인 대통령의 마지막 국정 수행 평가가 긍정 45.9%. 1.2%포인트 하락했습니다. 부정 평가는 49.7%. 3.6%포인트 상승했는데요. 주중에는 부정 평가가 50%를 살짝 넘기도 했었는데 목요일, 금요일 좀 반등하면서 청와대 입장에서는 다행스러운 일일 거 같은데 49.7%로 40%대로 마감이 됐고 긍정 평가는 45.9%. 역대는 아니지만 취임 후에는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1.2%포인트 빠졌는데요. 역시 경제 상황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김태우 전 수사관 관련된 보도가 굉장히 컸고요. 그다음에 여당 의원의 공항 갑질 논란 등이 악재로 작용한 것 같습니다.
◇ 김현정> 그러니까 결국은 취임 후 최저치를 경신하면서 찍으면서 올 한 해가 마무리되는 거네요. 이게 마지막 여론 조사네요, 리얼미터에서 낸. 올 한 해 흐름을 한번 보자면 오르락내리락 막 했어요. 일단 최고치는 언제, 얼마를 찍었습니까?
◆ 이택수> 5월 첫째 주차에 77.4%가 최고치였습니다.
◇ 김현정> 그때가 남북 정상 회담 때인 거죠.
◆ 이택수> 4.27 판문점. 남북 정상 회담 직후였죠. 그다음에 5월 5주차에는 71.4%로 빠졌습니다. 소득 양극화 심화 등의 소식이 있었고. 그다음에 6.11 북미 정상 회담 또 여당의 6.13 지방 선거 압승이 보도된 이후에 75.9%로 살짝 올랐는데 그 이후에는 조금씩 계속 빠졌습니다. 9월 24일 53.1%로 빠졌는데 북미 비핵화 협상 교착 상태 지속 소식 등이 영향을 미쳤고 그런데 9월달에 평양 남북 정상 회담이 있었죠. 그때 65.3%로 다시 반등했다가 그다음에 또다시 빠지기 시작했는데요. 이재명 지사 논란. 또 공공 친인척 특혜 논란 등이 있으면서 11월 마지막 주에는 48.4%로 40%대로 떨어졌고.
◇ 김현정> 이때가 분수령입니까? 이때가 딱 꺾기로 시점을 거기로 보면 돼요? 이재명 논란, 공공 기관 채용 비리 이런 것들?
◆ 이택수> 그다음에 민생 경제 지표 악화 소식 관련된 보도 계속 있었고요. 그다음에 이제 오늘 소식 45.9%로 40% 중반까지 떨어졌다는 소식이 전해졌는데 어제 또 전 기재부 직원의 또 청와대가 KT&G 사장 교체 시도에 개입했다. 이런 보도가 나오면서 계속 좋지 않은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 김현정> 신재민 씨죠? 신재민 전 사무관의 폭로가 어제 있었고 김정은 위원장의의 친서가 어제 왔고. 이 두 가지가 다음 주 지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이거를 봐야겠네요. 여기까지 이택수의 여론. 어떻게 조사하셨습니까?
◆ 이택수> 이번 조사는 24일부터 28일까지 5일간 25일 크리스마스를 제외한 나흘 동안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3만 129명에게 통화를 시도해서 최종 2011명이 응답을 완료했고요. 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2.2%포인트였습니다.
◇ 김현정> 여기까지. 수고하셨습니다.
◆ 이택수> 감사합니다. (속기=한국스마트속기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