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왜 나는 조그만 일에만 분개하는가
저 왕궁 대신에 왕궁의 음탕 대신에
오십원짜리 갈비가 기름덩어리만 나왔다고 분개하고
옹졸하게 분개하고
설렁탕집 돼지같은 주인한테 욕을 하고 옹졸하게 욕을 하고
한번 정정당당하게
붙잡혀간 소설가를 위해서
언론의 자유를 요구하고 월남파병에 반대하는
자유를 이행하지 못하고
이십원을 받으러 세번씩 네번씩
찾아오는 야경꾼들만 증오하고 있는가
옹졸한 나의 전통은 유구하고 이제 내 앞에 정서로 가로놓여 있다
이를테면 이런 일이 있었다
부산에 포로수용서의 제 14 야전병원에 있을 때
정보원이 너어스들과 스펀지를 만들고 거즈를
개키고 있는 나를 보고 포로경찰이 되지 않는다고
남자가 뭐 이런 일을 하고 있는냐고 놀린 일이 있었다
너어스들 옆에서
지금도 내가 반항하고 있는 것은 이 스폰지 만들기와
거즈 접고 있는 일과 조금도 다름이 없다
개의 울음소리를 듣고 그 비명에 지고
머리에 피도 안 마른 애놈의 투정에 진다
떨어지는 은행나무잎도 내가 밟고 가는 가시밭
아무래도 나는 비켜서 있다 절정위에서는 서있지 않고
암만해도 조금쯤 옆으로 비켜서 있다
그리고 조금쯤 옆에 서 있는 것이 조금쯤
비겁한 것이라고 알고 있다
그러니까 이렇게 옹졸하게 반항한다
이발쟁이에게
땅주인에게는 못하고 이발쟁이에게
구청직원에게는 못하고 동회직원에게도 못하고
야경꾼에게 이십원 때문에 십원 때문에 일원 때문에
우습지 않으냐 일원 때문에
모래야 나는 얼마큼 적으냐
바람아 먼지야 풀아 나는 얼마큼 적으냐
정말 얼마큼 적으냐......
어느 날 고궁을 나오면서 / 김수영詩
왜 우리는 사소한 일에 목숨을 걸고 사는가
......
불편한 진실의 시대를 살아가는우리에게
뼈아픈 자성의 계기를 마련해주는 시로
오랜 어둠 속에 잠겨있는 자가 갑자기 환한 햇빛 속으로
불려나왔을 때처럼 꽁꽁 쟁여 비밀하게 숨겨 온
안쪽 비루한 욕망이며 비굴한 속성들이
불쑥 몸 바깥으로 출현하는 당혹을 맛보는 일과도 같다
큰 싸움 앞에서는 두려워 망설이면서
아주 사소한 싸움에 목숨을 거는 시적 주체의 비겁한 모습은
반복 순환으로서의 기계적 일상을 자동화된 의식으로 살아가는
우리들 초상이 아닌가
......
이재무 시인의 '행복한 시읽기' 에서 담아 왔습니다
좋은 음악 들으러 음악 FM에 와서
공감하는 대목입니다
아! 가을입니다
산책길의 바람이 벌써 다릅니다
고궁도 함 걸어볼 양입니다 이 시에 고취되어
가을엔 떠나지 말아요
차라리 하얀 겨울에 떠나요
/ 최백호님 노래 어울리는 가을에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