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일과 얽힌 어머니와의 추억을 담아낸 영화인 심재명대표의속깊은이야기)

『엄마 에필로그』는 엄마 자신의 에필로그이자 그 딸이 쓰는 에필로그다. 딸은 상실감을 이제 겨우 글로 채운다. 그리고 그 상실감을 겪었을, 겪고 있을, 겪을 사람들의 마음에 가 닿고자 한다. 영화인 심재명이 털어놓는 뜻밖의 기록
“나이 오십에 문득 지금 내 나이의 엄마를 생각한다”
[접속]에서부터 [공동경비구역 JSA]와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 [건축학개론]에 이르기까지 제작하는 영화마다 한국 영화사의 새로운 이정표를 마련한 명필름의 심재명 대표. 그가 첫 책 『엄마 에필로그』를 펴냈다. 자신이 해야 할 이야기, 나누고 싶은 이야기를 글로 쓰기로 한 그는 어머니 이야기를 해야겠다고 마음먹는다. 한 사람의 딸이자 엄마, 아내로서 자신을 이야기하기 위해 빼놓을 수 없는 ‘엄마’ 이야기. 하지만 그 이야기를 글로 풀기까지 오 년이 넘는 시간이 걸렸다. 그만큼 힘겨운 반추와 반성의 시간이 필요했던 것. 루게릭병으로 세상을 떠난 어머니의 기일은 저자의 생일 다음 날이다. 그래서 어머니의 제사상과 그의 생일상은 같은 날 차려진다. 여전히 ‘엄마’라는 이름은 그의 삶 한가운데 있다.
영화 한 작품의 탄생을 결정하면서도 전면에 나서 자신을 드러내지는 않는 제작자의 모습처럼, 저자 심재명은 어머니의 이야기를 통해 자신의 삶을 들여다본다. 소신 있게 영화를 만들어온 그에게 여러 번 망설임을 준 글쓰기, 이제야 무언가 쓸 수 있다는 결심이 섰을 때 그의 나이는 오십이었고 그 나이의 엄마가 불현듯 찾아왔다. 저자가 십 대 후반에서 이십 대 초를 지나던 그 시기, 갱년기 여성과 사춘기 여성이 한 집안에서 날을 세워가며 갈등하던 그때, 그 엄마의 마음을 이제야 이해하며 딸은 이제 세상에 없는 엄마를 불러낸다. 이 세상 수많은 엄마 가운데 하나지만 나만의 엄마이기에 유일한 사람, 애愛와 증憎이 함께하던 시기를 거쳐 오로지 애정만 남았을 때 그 엄마는 죽음을 앞두었고 그렇게 세상을 떠났다.
『엄마 에필로그』는 엄마 자신의 에필로그이자 그 딸이 쓰는 에필로그다. 딸은 상실감을 이제 겨우 글로 채운다. 그리고 그 상실감을 겪었을, 겪고 있을, 겪을 사람들의 마음에 가 닿고자 한다.
......................................................................................................................................................................
# 윌북출판사 제공, <타샤의 정원-캐주얼 에디션> 책
(동화작가 타샤 튜더 서거 5주년 기념으로 젊은 감각을 입혀 재탄생시킨 캐주얼판)

미국인이 사랑한 동화작가이자 자급자족하는 시골생활로 유명한 타샤 튜더의 정원을 공개하는 <타샤의 정원_캐주얼 에디션>이 출간되었다. 타샤 하면 정원, 정원 하면 타샤를 떠올릴 정도로 정원사로서 타샤 튜더의 면모를 가감 없이 보여준 양장본 구판 <타샤의 정원>에 빈티지풍의 젊은 감각을 입혀 재탄생시킨 캐주얼판으로, 책 크기가 기존의 2배로 커져 보는 재미가 더욱 풍성해졌으며 사진과 글, 커버를 모두 새로운 감성으로 재편집하여 소장가치를 높였다.
스스로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핸드메이드 라이프스타일 아이콘으로 국내에 소개된 후 타샤 튜더는 수많은 사람들의 가슴에 묻어둔 로망을 일깨워주며 자연에 기반한 삶의 대표적 롤모델이 되었다. 머리만 비대한 도시인들에게 흙때 낀 손과 그 손에 담긴 열매 한 움큼, 꽃으로 가득한 정원을 거니는 거친 맨발, 코기와 염소와 닭과 오리가 노니는 마당은 그 자체로 감동을 주었고 50만 명의 독자들이 그녀의 책을 읽으며 꽃노년의 여유를 탐했고 그녀처럼 살기를 희망했다.
그림책 인세를 받아 사들인 버몬트 산골짜기의 척박한 땅은 타샤 한 사람의 손길로 일 년 내내 자연의 아름다움을 발산하는 환상적인 정원으로 변모했고, 이 책에는 그곳에서 일상을 보내는 타샤의 모습과 시시각각 변화하는 정원의 풍경이 생생하게 담겨 있다. 타샤에게 정원은 단순히 좋아하는 꽃과 나무를 심는 야외 공간이 아니다. 자급자족하는 삶을 가능하게 해주는 터전이자 최고의 기쁨을 가져다주는 원천이다. 책에는 타샤가 어떻게 천국 같은 정원을 가꾸어왔는지 그곳에서 꽃과 나무와 동물과 함께 산다는 것이 무엇인지, 정원이 주는 기쁨이 얼마나 대단한지 고운 사진과 담백한 글로 실려 있다.
긴 겨울을 이기고 피어나는 3월의 동백부터 연둣빛 새싹이 앙증맞은 4월의 앵초, 눈에 덮인 12월의 당당한 참나무까지 일 년간 타샤의 정원을 물들이는 꽃과 나무들을 보노라면 어느새 우리들 가슴에도 자연으로 돌아가고픈 원초적 열망이 꿈틀거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