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생방송 중에
50원의 정보이용료가 부과되는 # 9390 문자로
<공연 제목>과 <본인 성함>을 정확히 적으셔서 신청해주세요.
당첨자 분들에게는 개별적으로 당첨안내문자를 보내드립니다.★
1. 일시 : 2025년 12월 4일 (목) 저녁 7시 30분
2. 장소 : 금호아트홀 연세
3. 초대인원 : 5쌍 (1인 2매, 총 10매)
4. 작품설명 :
<위대한 작곡가>
김상윤 Clarinet 문태국 Cello 박진형 Piano
***출연
클라리네티스트 김상윤
첼리스트 문태국
피아니스트 박진형
<위대한 작곡가> 시리즈는 연주자가 선율 속 작곡가의 내면을 깊이 마주하는 과정에 관객들도 동참하며 이해와 공감을 더하는 무대이다. 오는 12월 4일(목), 클라리네티스트 김상윤은 독일 음악의 뿌리가 되는 작곡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음악세계를 오롯이 마주한다.
비교적 늦은 시기에 발전된 클라리넷은 19세기 중반 현재의 방식을 갖추게 되었다. 바흐는 17-18세기 바로크 시대에 활동한 작곡가로, 당시 클라리넷은 주요 악기로 활용되지 않았지만 바흐가 남긴 음악 유산은 후대 작곡가들의 음악과 클라리넷 레퍼토리에 큰 영향을 미쳤다.
김상윤은 바이올린 또는 플루트를 위해 작곡된 바흐의 작품을 클라리넷 연주로 들려주며 시대를 초월한 연결고리를 선보인다. 바흐의 바이올린을 위한 독주 소나타 1, 2번과 파르티타 2, 3번 중 일부 악장을 발췌해 연주하며, 플루트를 위한 소나타 C장조와 파르티타 a단조를 연주한다. 특히 바이올린 파르티타 2번 ‘샤콘느’와 파르티타 3번은 김상윤이 직접 편곡한 버전을 연주할 예정으로, 김상윤만의 개성이 묻어나는 바흐 연주를 들어볼 수 있다. 그는 “바흐의 작품을 재해석함으로써 그의 음악적 깊이를 알아가고, 동시에 클라리넷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싶다”라고 공연의 기획의도를 전했다. 이번 공연에는 최근 바흐의 음악을 집중적으로 탐구 중인 첼리스트 문태국과 탁월한 음색과 앙상블 밸런스를 지닌 피아니스트 박진형이 함께할 예정이다.
클라리네티스트 김상윤은 프라하 봄 국제 음악 콩쿠르, 자크 랑슬로 국제 클라리넷 콩쿠르, 우니사 국제 콩쿠르 등에서 모두 우승하며 국제 무대에 이름을 알렸으며, BBC 심포니, 브뤼셀 필하모니, 도이치 캄머, 인천시향, 부천시향, 성남시향, 울산시향, 광주시향, 군포프라임필, 원주시향 등 국내외 유수 오케스트라들과 협연했다. 그는 2020년부터 미국 말보로 음악 페스티벌에 시니어 멤버로 참여하고 있으며, 맨체스터 실내악 음악 페스티벌, 스타방거 국제 실내악 페스티벌, 예술의전당 국제 음악제, 평창대관령음악제, 포항 음악제 등의 페스티벌에 꾸준히 초청받고 있다. 현재 미국 세인트폴 체임버 오케스트라의 클라리넷 수석으로 활동 중이며, 2022년부터 미네소타 대학교 조교수로 임용되어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김상윤 Sangyoon Kim, Clarinet
클라리네티스트 김상윤은 2015년 프라하 봄 국제 콩쿠르 우승자로 일찍이 우니사 국제 콩쿠르 우승, 자크 랑슬로 국제 클라리넷 콩쿠르 우승, 겐트 국제 클라리넷 콩쿠르 입상 등 다수의 국제 콩쿠르를 석권하며 국제 무대에 이름을 알렸다.
10 세의 나이에 클라리넷을 시작해 2002년 금호영재콘서트로 데뷔한 김상윤은 서울시립교향악단 전 수석을 역임한 김동진을 사사하며 예원학교 재학 중 이화경향 콩쿠르 1위, CBS 전국 학생 음악 콩쿠르 관악부 최우수상, 난파 콩쿠르 대상 등 국내 유수의 콩쿠르에서 1위로 입상하였다.
사카리 오라모 지휘로 BBC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프라하 봄 음악 축제에서 협연했고 2022년 원주시향과 교향악축제 협연을 비롯해, 브뤼셀 필하모니, 도이치 캄머 오케스터 베를린, 인천시향, 부천시향, 성남시향, 울산시향, 광주시향, 프라임필 등 국내외 저명 오케스트라들과 협연 무대에 오르고 있다.
2020년부터 미국을 대표하는 실내악 축제인 말보로 음악 축제에 시니어 멤버로 초청되어 참여하고 있으며, 미국 라비니아 음악 축제, 맨체스터 실내악 음악 축제, 스타방거 국제 실내악 축제 등에서 초청공연을 한 바 있다. 마틴 프로스트, 장이브 티보데, 로버트 레빈, 에벤느 콰르텟, 캘리도어 스트링 콰르텟과 같은 정상급 아티스트들과 호흡을 맞췄다. 이 밖에도 예술의전당 국제 음악제, 대관령 음악제, 포항 음악제 등 국내외 여러 페스티벌에 아타스트로 초청받으며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활발한 솔리스트 활동 이외에도 다양한 오케스트라 경험을 쌓은 그는, 미국 클리블랜드 오케스트라,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등 유수의 세계적인 오케스트라에서 프란츠 뷀저 뫼스트, 얍 판 츠베덴, 크리스토프 에센바흐와 블라디미르 유롭스키의 지휘 아래 객원 수석으로 활약했다.
2005년 파리국립고등음악원에 입학한 첫 한국인 클라리네티스트로, 플로렁 에오, 미셀 아리뇽, 파스칼 모라게스를 사사했으며 이후 미국 LA 콜번 스쿨에서 예후다 길라드를 사사하며 전문연주자 과정을 졸업하였다. 두 차례나 미국 그래미 어워드를 수상한 미국 세인트폴 체임버 오케스트라의 수석으로 활동 중이며, 2022년부터 미네소타 대학교 조교수로 임용되어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현재 부페 크람퐁, 실버스틴, 반도렌 아티스트이며 클럽 M 멤버로 활동 중이다
***문태국 Taeguk Mun, Cello
문태국은 제15회 성정전국음악콩쿠르 최연소 대상, 2011년 제3회 앙드레 나바라 국제 첼로 콩쿠르 우승, 2014년 파블로 카잘스 국제 첼로 콩쿠르 우승, 2019년에는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 4위 등 국내외 수많은 콩쿠르에서 수상하며 주목 받고 있다.
2004년 금호영재콘서트와 2006년 경기도문화의전당 소극장 독주회를 시작으로 한국, 미국, 유럽 등에서 다수 연주를 하며 인천시립교향악단, 수원시립교향악단,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브레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툴루즈 카피톨 국립 오케스트라와 헝가리 라디오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비롯하여 국내외 유명 오케스트라와 함께 연주한 바 있다. 2014 부산국제음악제 라이징스타를 시작으로 교향악축제, 서울스프링실내악축제 등에 참가하며 여러 아티스트들과 함께 호흡을 맞추고 있다. 2017년에는 금호아트홀 상주음악가로 활동했으며 2019년 까지는 실내악 그룹 앙상블 디토 활동을 겸하였다. 2022년에는 롯데콘서트홀 인하우스 아티스트로 활동했다.
(재)성정문화재단과 황진장학회에서 후원을 받고 있는 문태국은 제2회 SK케미칼 그리움 G.rium 아티스트로 선정되었고 제1회 야노스 슈타커 상과 제51회 난파음악상을 수상했으며 2019년에 수원시 홍보대사로 임명되었다. 2019년에 워너 뮤직 인터내셔널 레이블로 데뷔 앨범 “첼로의 노래”를 발매했다.
만 4세에 첼로를 접한 문태국은 한국에서는 양영림, 줄리아드 예비학교에서는 클라라 민혜 김을 사사하였다. 이후 보스턴의 뉴잉글랜드 음악원에서 전액 장학생으로 로렌스 레서를 사사, 미국 남가주 대학교에서 랄프 커쉬바움과 마르시 로젠을 사사했고 현재 독일 뒤셀도르프 로베르트 슈만 음악대학에서 피터 비스펠베이를, 일본에서는 히데미 스즈키를 사사하고 있다.
***박진형 Jinhyung Park, Piano
피아니스트 박진형은 2016년 프라하 봄 국제 음악 콩쿠르에서 한국인 최초로 피아노 부문 1위를 차지하며 세계 무대에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당시 심사위원 당 타이손은 “독보적으로 아름다운 음색을 지닌 피아니스트”라 극찬을 보냈고, 2017년 슬로박 필하모닉과의 협연과 프라하의 봄 국제 음악 페스티벌에서 성공적인 데뷔 무대를 이루며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이후 프레미오 하엔, M.K. 츄를료니스, 모로코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국제 음악 콩쿠르에서 연이은 우승을 석권하며 독보적인 행보를 걷고 있다.
금호영재콘서트로 데뷔 이후, 금호영아티스트, 금호영아티스트콘서트 오프닝 무대를 장식했고, 슬로바키아 뮤직 페스티벌, 파리 아니마토 재단, 체코 DSA 20주년 기념 음악회, 주 벨기에 한국 문화원, 주한 체코 대사관, 프랑스 샹젤리제 극장, 베를린 콘체르트하우스 등에 초청되어 연주했고 프라하 심포니, 슬로박 필하모닉, 스페인 라디오방송교향악단, 몬트리올 필하모닉, 포트워스 심포니, 베를린 콘체르트하우스 오케스트라, KBS교향악단 등 주요 국내외 오케스트라들과 협연했다. 피아니스트 백건우, 지휘자 파블로 곤잘레스, 니콜라스 맥기건, 정치용 등과 연주하며 그 실력을 인정받음과 동시에 여러 실내악 팀들과 호흡을 맞추며 실내악 연주자로서의 기량도 갖춘 다재다능한 피아니스트임을 증명하고 있다.
#프로그램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바이올린 독주를 위한 소나타 제1번 g단조, BWV 1001 중 아다지오
(들레클뤼즈 편곡의 클라리넷을 위한 바흐 15개의 연습곡 중 제1번)
플루트와 건반을 위한 소나타 C장조, BWV 1033 (클라리넷과 피아노 연주)
바이올린 독주를 위한 파르티타 제3번 E장조, BWV 1006 중
(클라리넷과 피아노를 위한 편곡, 김상윤)
INTERMISSION
바이올린 독주를 위한 소나타 제2번 a단조, BWV 1003 중 그라베 (클라리넷 연주)
플루트 독주를 위한 파르티타 a단조, BWV 1013 (클라리넷 연주)
바이올린 독주를 위한 파르티타 제2번 d단조, BWV 1004 중 샤콘느
(피아노 반주 편곡 로베르트 슈만, 클라리넷, 피아노와 통주저음을 위한 편곡 김상윤)

